학술논문
진로목표추구행동 발달 궤적, 관련 예측변인 및 결과변인 : 사회인지진로모형에 근거하여
이용수 229
- 영문명
-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Goal Intention Behavior and their Predictors and Outcomes: Based on SCCT Model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안태용(Ahn, Taeyong) 강선모(Kang, Sun Mo)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29권 제4호, 51~7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기초하여, 청소년의 진로목표추구행동의 발달 궤적을 파악하고, 관련 예측변인 및 결과변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진로목표추구행동 발달 궤적 파악을 위해 KELS 2005 5차년도(2009년)(고3), 7차년도(2011년)(대2), 9차년도(2013년)(대4)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관련 예측변인 및 결과변인 탐색을 위해 분석을 위해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ing, GMM)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목표추구행동 발달 궤적은 ‘저수준-유지 유형’, ‘초기 고수준-저증가 유형’, ‘초기 저수준-고증가 유형’, ‘초기 고수준-고감소 유형’의 네 가지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목표추구행동 발달 궤적의 구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특성 및 상황적 정서 범주에서 무동기, 사회적 맥락 변인 범주에서 성별, 인적교류, 사회인지 변인 범주에서 결과기대가 나타났다. 반면에 노력과 끈기, 개방적 태도, 부모지지 및 자기효능감의 유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진로목표추구행동 발달 궤적별로 진로만족, 삶의 만족, 생활스트레스 및 진로미결정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연구결과, 진로목표추구행동 발달 궤적의 유형, 관련 예측변인 및 결과변인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dolescents’ career goal intention behavior and how they are associated with social cognitive career predictors and outcomes, grounded i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Method: Using the KELS 2005(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panel data from the 5th(11th grade), 7th(freshman in university), and 9th(junior in university), A growth mixture modeling was used to identify developmental trajectories. Results: First, four distinct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goal intention behavior emerged: ‘low-level maintenance type’, ‘initial-high, low-increase type’, ‘initial-low, high-increase type’ and ‘initial-high, high-reduction type’ based on the change of goal intention behavior. Second,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amotivation, gender, human exchange, outcome expectatio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ach latent trajectory classes, whereas grit, openness, parent’s social support, Self-efficacy did not have not a significant effect on any latent trajectory classes. Third, in examining how different developmental trajectories were associated with career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life stress and career indeci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reer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life stress and career indecision between each latent trajectory class. Conclusion: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dolescents’ career goal intention behavior and their social cognitive career predictors and outcomes were identifi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RA 전략 기반 수감각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중재반응모델 2단계 적용
-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관련 변인의 메타분석
- 유아교육기관 하루일과 속 영유아의 휴식 탐구: 교사의 시선으로 들여다보기
- 진로목표추구행동 발달 궤적, 관련 예측변인 및 결과변인 : 사회인지진로모형에 근거하여
- 교사의 놀이 교수효능감 및 유아의 놀이성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 보육교사의 자아상태와 스트로크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창의·인성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특수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직적응탄력성
- 대학의 플립드러닝에서 학습 이해도 및 교수·학습자 역할 평가
- 학교단위 민주적 의사결정과 교사의 갈등지수가 교사효능 감과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형혁신학교와 일반 학교의 비교를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 기반 토픽 모델링을 통한 대학 교수자의 교수(Teaching)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상상력을 활용한 교육활동에서 드러나는 유아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학사경고경험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중요도-수행도 분석
- 유치원교사의 양성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 푸코의 자기배려에 대한 소고: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을 중심으로
- 괴롭힘 가해-피해 남자 중학생의 사회·정서적 기능: 가해 및 피해 집단과의 비교
- 교장 공모제와 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 활력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
- ‘타자 존중’ 유아 인성교육의 텍스트로서 토미 웅거러 그림책에 대한 연구
- 의과대학생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 전문직 간 협력 준비도 차이
- 대학원 교육의 환경적・교육적 요인과 대학원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 학교장의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인식의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시스템 이론에 기반 한 ‘숙의형 타운미팅’ 프로세스의 개념 모형 연구
- 「제4차 (’13-’17)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평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