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단위 민주적 의사결정과 교사의 갈등지수가 교사효능 감과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형혁신학교와 일반 학교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622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both DDS and CIDD on Self-efficiency and School Satisfaction: Comparing Hyukshin Schools with General School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설진성(Seol, Jin-Sung)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29권 제4호, 315~34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교단위 민주적 의사결정(DDS)’와 교사의 민주적 의사결정 갈등지수(CIDD)가 교사효능감과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학교풍토와 갈등지수, 교사효능감, 학교만족도를 측정하는 질문지를 초․중등학교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에 배포하였고 총 877부를 기본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단위 민주적 의사결정 풍토와 갈등지수가 높으면 교사효능감과 학교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나 선행연구에 의하면 높은 갈등은 교사효능감과 학교만족도에 부정적인 변인이라고 여겨지고 있었다. 혁신학교는 일반학교보다 높은 민주적 의사결정 풍토을 보였고 학교만족도 또한 높았다. 논의 및 결론: 현재 학교에서 교사들 간 충돌은 적절히 조절되고 있으므로, 학교혁신의 과정에서 파생하는 교사 간 갈등이 있다고 할지라도 혁신학교 뿐만 아니라 일반학교에서도 혁신정책들을 지속적으로 추구할 필요가 있다. 민주적 의사결정에서 나타나는 갈등은 교사 자신의 비판적 성찰과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research analyzed how much both ‘Democratic Decision-making of School unit(DDS)’ and ‘Conflict Index of Democratic Decision-making(CIDD)’ could cause effects on self-efficiency and school satisfaction of teachers. Method: The questionnaires inquiring DDS, CIDD, self-efficiency of a teacher, and school satisfaction of a teacher were distributed and 887 of elementary or secondary school teacher responses in general schools as well as Hyukshin schools were summed. Results: Both high DDS and CIDD could guarantee high self-efficiency and school satisfaction. However, CIDD was regarded as a negative variable for self-efficiency and satisfaction of teachers. Hyukshin schools have higher DDS and school satisfaction than general schools. Conclusion: It was proven that in spite of conflict among teachers during school innovation, Hyukshin school as well as general schools might need to pursue innovative policies continuously while the conflicts would be controlled moderatel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 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RA 전략 기반 수감각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중재반응모델 2단계 적용
-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관련 변인의 메타분석
- 유아교육기관 하루일과 속 영유아의 휴식 탐구: 교사의 시선으로 들여다보기
- 진로목표추구행동 발달 궤적, 관련 예측변인 및 결과변인 : 사회인지진로모형에 근거하여
- 교사의 놀이 교수효능감 및 유아의 놀이성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 보육교사의 자아상태와 스트로크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창의·인성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특수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직적응탄력성
- 대학의 플립드러닝에서 학습 이해도 및 교수·학습자 역할 평가
- 학교단위 민주적 의사결정과 교사의 갈등지수가 교사효능 감과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형혁신학교와 일반 학교의 비교를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 기반 토픽 모델링을 통한 대학 교수자의 교수(Teaching)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상상력을 활용한 교육활동에서 드러나는 유아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학사경고경험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중요도-수행도 분석
- 유치원교사의 양성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 푸코의 자기배려에 대한 소고: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을 중심으로
- 괴롭힘 가해-피해 남자 중학생의 사회·정서적 기능: 가해 및 피해 집단과의 비교
- 교장 공모제와 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 활력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
- ‘타자 존중’ 유아 인성교육의 텍스트로서 토미 웅거러 그림책에 대한 연구
- 의과대학생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 전문직 간 협력 준비도 차이
- 대학원 교육의 환경적・교육적 요인과 대학원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 학교장의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인식의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시스템 이론에 기반 한 ‘숙의형 타운미팅’ 프로세스의 개념 모형 연구
- 「제4차 (’13-’17)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평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