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장의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인식의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196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Principals’ Perception of School and Community Linkage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홍지오(Hong, Ji-O) 김시현(Kim, Si-Hyun) 신우용(Shin, Woo-Young)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29권 제4호, 531~55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에 대한 학교장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에 대한 학교장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크게 학교장의 개인배경, 학교배경, 학교경영 요인으로 분류하여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교육연구원이 2012년부터 구축하고 있는 종단데이터인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차이검정(t-test)과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개인배경 변인에 따른 연계인식 차이를 확인한 결과, ‘교장공모제 임용’을 통해 부임한 학교장이 그렇지 않은 학교장에 비해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에 대한 인식을 더욱 높게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에 대한 학교장의 인식은 읍면지역보다 도시지역에 위치한 학교일수록, 그리고 예술체육 중점학교 사업을 운영하는 학교일수록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에 대한 학교장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한 결과, 학교경영 변인 중 ‘학교풍토’와 ‘단위학교 자율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를 강조하는 교육정책이 효과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역할이 중요할 뿐 아니라, 이를 지원하기 위한 학교풍토 및 자율성 제고를 위한 거시적이고 조직적인 차원에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principal s perception of school and community links. Method: Through previous research,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principal s perception of school and community connectivity were divided into the school director s background, school background, and school management. This study employed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5th Panel Study on Korean students, teachers and principals administered by the Gyeonggi-do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since 2012.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re’s significant difference on principals’ recognition by principals’ personal background. The principal who was hired by the Open Recruiting Principal Employment System had a higher perception of the school and community connection than the principal who was not. Second, the perception of school-community linkages for principals working in schools located in urban areas was higher for the ones with the school in rural areas, and the principals perception of school-community linkages with schools running arts and physical education program was higher than the one with general school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rincipal s perception of the school-community connection, school climate and unit school autonomy had positive effects on it.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principal s perception of the school-community connection at organizational level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RA 전략 기반 수감각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중재반응모델 2단계 적용
-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관련 변인의 메타분석
- 유아교육기관 하루일과 속 영유아의 휴식 탐구: 교사의 시선으로 들여다보기
- 진로목표추구행동 발달 궤적, 관련 예측변인 및 결과변인 : 사회인지진로모형에 근거하여
- 교사의 놀이 교수효능감 및 유아의 놀이성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 보육교사의 자아상태와 스트로크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창의·인성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특수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직적응탄력성
- 대학의 플립드러닝에서 학습 이해도 및 교수·학습자 역할 평가
- 학교단위 민주적 의사결정과 교사의 갈등지수가 교사효능 감과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형혁신학교와 일반 학교의 비교를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 기반 토픽 모델링을 통한 대학 교수자의 교수(Teaching)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상상력을 활용한 교육활동에서 드러나는 유아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학사경고경험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중요도-수행도 분석
- 유치원교사의 양성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 푸코의 자기배려에 대한 소고: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을 중심으로
- 괴롭힘 가해-피해 남자 중학생의 사회·정서적 기능: 가해 및 피해 집단과의 비교
- 교장 공모제와 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 활력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
- ‘타자 존중’ 유아 인성교육의 텍스트로서 토미 웅거러 그림책에 대한 연구
- 의과대학생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 전문직 간 협력 준비도 차이
- 대학원 교육의 환경적・교육적 요인과 대학원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 학교장의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인식의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시스템 이론에 기반 한 ‘숙의형 타운미팅’ 프로세스의 개념 모형 연구
- 「제4차 (’13-’17)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평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