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의 학업부진 학생들을 위한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학업성취 및 학업 역량 향상을 중심으로

이용수  408

영문명
Effects of Peer Tutoring Program for Underachievers in College : Focused on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ing Competencies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박영신(Youngshin Park) 김경이(Kyungyee Kim) 김지원(Jiwon Kim)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31권 제3호, 503~52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에서 운영되는 교과목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이 학업부진 대학생들의 학업성취와 학업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C대학의 학업부진 학생들을 위한 위기관리 체계 운영을 통해 학업부진 학생들이 교과목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이 참여한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비교집단을 설정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총 96명의 학부 재학생이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업부진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은 총 3단계 세 가지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1단계로 대학생 역량진단 자가진단 평가와 2단계 학습상담 전문가의 전화 면접, 그리고 최종 3단계로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 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4(학업집단) × 2(측정시기)에 대한 혼합 설계를 도입하고 학생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먼저 학업부진 집단은 입학 이후 한 번도 평균 평점이 2.9를 초과하지 못한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결과 비교를 위한 학업 우수 집단을 설정하였고, 이들은 입학 이후 전체 평균 평점이 4.0이상 이면서 학기 평점이 최하 3.5점을 내려간 적이 없는 학생들로만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결과를 비교 검토하기 위해 교내에서 진행되는 다른 비교과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튜터링 집단의 비교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참여한 학기의 시작과 종료 시점에 온라인 설문을 통해 학업역량 자가 진단평가에 참여하였고, 이 자료들을 수집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프로그램 참여 직전학기 평점과 프로그램 참여 학기 평점을 통해 학업성취도의 변화를 탐색하였으며, 학생역량 자가 진단평가 결과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전략과 학습동기, 학업몰입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동료 튜터핑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업부진 학생들에게서 학업성취와 학업역량 향상 효과가 확인되었다. 튜터링에 참여한 학업부진 학생들은 직전학기에 비해 참여학기에 평균 평점이 상승한 것이 확인되었으며, 학업몰입도와 학습동기 향상 역시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비교집단인 협력학습에 참여했던 학업부진 학생들과 학업우수 집단 학생들에게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비교과 학습지원 프로그램에 자발적 참여율이 저조한 학업부진 학생들의 위기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의 운영 과정과 구성에 대한 방향성을 제안하고 있으며, 비교과 학습지원 프로그램으로써의 튜터링 프로그램의 기능과 그 효과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 시사해 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program on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ing competencies for underachievers in college. The risk management system for underachievers had come in to operate and eventually twenty-four students participated in peer subject tutoring program through the second semester in 2017. Total 96 undergraduates were recruited and has volunteered, and three comparison groups were set up for comparisons with results. The whole program for underachievers in C college was systemized in three steps. The first step was a self-evaluating assessment for college students’ competence. The second step was consisted of feedback for results and brief consulting by a learning expert. The final step was a peer tutoring program(20 hours) for one subject which the underachiever asked. A mixed design of 4 (learning groups) X 2 (time) were introduced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conducted. The group of underachieving students included ones that never had exceeded the point of 2.9 GPA. To compare the results with academic performance levels, the group of excellent students who had the point of 4.0 GPA on average were include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ype of programs, the group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learning community were included as comparison groups. The methodology for analysis was to compare the change of both students’ competencies and GPA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cross learning groups. Results revealed that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ing competencies of underachiever in tutoring program had significantly enhanced with relative to other comparison groups. The outcome had not observed in excellent student groups as well as underachievers in learning community. This study and result of it suggests one direction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extra curricular learning program for underachievers in college. Also, it has indicated that the function of peer tutoring program as an extra curriculum for college students and the sustainability of its effec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영신(Youngshin Park),김경이(Kyungyee Kim),김지원(Jiwon Kim). (2019).대학의 학업부진 학생들을 위한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학업성취 및 학업 역량 향상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31 (3), 503-525

MLA

박영신(Youngshin Park),김경이(Kyungyee Kim),김지원(Jiwon Kim). "대학의 학업부진 학생들을 위한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학업성취 및 학업 역량 향상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31.3(2019): 503-5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