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복지 재난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411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Disaster Training in Social Welfare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저자명
- 강창현(Kang Changhyun) 문순영(Moon Soon-Young)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복지연구』제10권 제1호, 5~3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재난사회복지실천을 사회복지의 전문분야로 확장하기 위하여 인적자원 개발에 필요한 교육과정을 탐색하여 보았다. 문헌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재난 관련한 한국의사회복지 대학교육 및 사회복지사들의 교육 실태를 살펴보고, 해외 사회복지사들 재난참여경험과 재난 교육사례를 검토하여 향후 우리나라 사회복지영역에서 재난사회복지인적자원개발에 필요한 교육내용들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현재 우리의 사회복지 대학교육 과정에서 재난 관련 교과목이나 교육내용은 찾아보기 어려웠으며, 현장 사회복지사 교육 중 정신보건영역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위한 심리적 응급처치 교육이 비교적 최근들어 제공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도 소수만이 참여하고 있고, 내용도 재난의 복합적인 상황과 문제를 해결하고 대처할 수 있는 통합적인 내용이 아닌 심리지원에 집중되고 있었다.
향후 재난사회복지 실천을 위하여 필요한 교육내용은 재난 구호 법령 및 정책, 구호 행동, 의사소통 및 위험관리, 신체 및 정신보건, 주택 지원 및 경제적 지원, 재난피해자 옹호 및 사회적 지원 재조정, 문화적 반응성, 재난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 사정 도구와 기술, 재난에서의 레질리언스 개념과 측정 지수 등이다. 그리고 이론과 현장경험으로 교육이 구성되어야 하지만 재난 현장경험의 제공이 쉽지 않기 때문에 간접경험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매체와 사례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hat has explored disaster social welfare training program to extend disaster social welfare practice into a specialized field of social welfare. Literature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examining university courses for social welfare major and continuing educations for social workers in Korea as well as disaster training and social workers’ experiences overseas. The findings show that disaster-related subjects and education contents are rarely included in social welfare curriculum in Korea. Psychological EFA (emergency first aid) education for mental health social worker was recently provided in social worker education, however, with only a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and limited contents. Future disaster social welfare education should include contents related to disaster relief laws, policies, relief behaviors, communication and risk management, physical and mental health, housing and economic support, disaster victim advocacy and social support readjustment, cultural responsiveness, welfare for those who are vulnerable to disaster, assessment tool and skills, the resilience concept in disaster and measurement tool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우리나라 사회복지사 재난교육 및 훈련 실태
4. 재난 사회복지실천 및 교육에서의 해외 사례와 시사점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건강사회복지사들의 임파워먼트 실천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지역사회 정신재활시설을 중심으로 -
- 중국, 베트남, 필리핀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습득이 주관적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외국인어머니와의 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약물사용자의 치료공동체 서비스이용 의사결정과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도움추구과정단계모형의 적용
- 사회복지 재난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 문제행동과 부정적 또래관계의 상호영향관계 : 부모 양육태도 수준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청소년의 충동성이 자해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질적 해석적 메타통합 : 한국노인의 삶의 의미
- 재입국 북한이주민*의 재정착 경험 - 탈북, 탈남에서 재입국까지 -
- 정신장애인 동료지원 프로그램으로서의 웰니스 회복 행동 계획 (WRAP)이 회복에 미치는 효과
- 원거주민의 경험을 통한 홍동마을공동체 유지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