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Narrative Inq uiry i nto the Life J ourney o f North Korean Refugee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South Korean Society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저자명
- 김명희(Myeonghee Kim) 정자양(Dasol Jung) 정다솔(Ziyang Ding)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86권, 39~76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이자 지체장애인이라는 교차적 정체성을 지닌 이들의 삶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그 의미를 서사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landinin과 Connelly(2000) 가 제시한 3차원 내러티브 탐구(시간성, 사회성, 공간성) 분석 틀을 적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 3명을 대상으로 생애사에 기반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그들의 삶의 이야기를 서사적으로 재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북한에서의 구조적 억압과 비가시화, 탈북이라는 전환, 그리고 남한사회에서의 제도적 장벽과 낙인 속에서 주체적으로 자아를 재구성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이들의삶은 ‘몸으로 써 내려간 여정’, ‘목소리로 외치는 여정’, ‘공간에 색을 칠하는 여정’, ‘이념을 넘어선갈망하는 실존의 공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들의 경험을 조명하고, 초기 정착단계의 언어⋅문화 적응 지원, 통합 복지 체계 구축, 심리⋅사회적 지원 서비스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lived experiences of North Korean refugee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embody intersectional identities, and examines the meanings of their life trajectories through a narrative inquiry approach. Guided by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framework of temporality, sociality, and place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0), the study conducted life history-based,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participants and reconstructed their life narrative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participants actively redefined their identities while navigating structural oppression and invisibility in North Korea, the transformational process of defection, and institutional barriers and stigma within South Korean society. Their lived experiences were thematically conceptualized into four narrative journeys: “A Journey Written on the Body,” “A Journey of Raising One’s Voice,” “A Journey of Coloring Spaces,” and “An Existential Space Longing Beyond Ideolog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providing tailored support for North Korean refugee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cluding programs for linguistic and cultural adaptation during early settlement,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welfare systems, and the development of psychosocial support service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연구 방법
Ⅲ. 북한이탈주민 장애인의 삶의 경험 이야기 풀어내기
Ⅳ. 북한이탈주민 지체장애인이 삶 경험의 의미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박사학위논문
- 문화와융합
- 유아교육학논집
- 장애와 고용
- 사회과학논집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 코칭능력개발지
- 통일과 평화
- 북한학연구
- 질적탐구
- 사회사상과 문화
- 교육인류학연구
- 장애의 재해석
- 통일연구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 OUGHTOPIA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사회복지 정책
- 장애인 평생교육연구
- 통일문제연구
- 사회복지연구
- 박사학위논문
-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 사회복지정책
- San Francisco, CA: Jossey-Bass
- John Wiley & Sons
- Stanford Law Review
- Qualitative inquiry
- Teachers College Record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6권 목차
- Factors Asscociated with Non-Suicidal Self-Injury and Suicidal Behavior among Runaway Youth
- 북한이탈주민 지체장애인의 남한 사회로의 삶의 여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1)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