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건강사회복지사들의 임파워먼트 실천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지역사회 정신재활시설을 중심으로 -
이용수 568
- 영문명
- The Qualitative Study on the Empowerment Practice Experience of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 A focus on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y -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저자명
- 정현주(Chung Hyun Ju)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복지연구』제10권 제1호, 299~33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하는 임파워먼트 실천의 맥락과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임파워먼트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지역사회의 정신장애인들의 재활과 회복을 돕는 정신재활시설의 정신건강사회복지사 4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5개의 주제와 18개의 하위주제, 99개의 의미단위가 분석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의 임파워먼트 실천 경험은 ‘사소하지만 정신장애인과 정신건강사회복지사들이 함께 답을 찾아나가면서 성장해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었다. 이는 각각 ‘임파워먼트 실천을 위한 노력’, ‘활동가들의 변화를 경험’, ‘임파워먼트 실천에서의 어려움’, ‘어려움을 돌파하려는 노력’, ‘특별하지는 않지만 변화와 성장이 지속적으로 선순환되는 과정’이라는 총 5개의 주제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generic qualitative study examining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empowerment practices that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experience at a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y. A generic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four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ho carried out the empowerment practices in a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y. The result yielded a total of 5 topics, 18 sub-topics, and 99 meaningful units. The research participants believed the empowerment practice to be ‘the process in which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and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grow as they seek for answers together.’ Five themes were also derived as follows: ‘efforts to implement empowerment practice’, ‘experience the change of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difficulties in empowerment practices’, ‘efforts to break through the difficulties’, ‘the process of continuous cycle of change and growth.’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연구결론과 함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건강사회복지사들의 임파워먼트 실천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지역사회 정신재활시설을 중심으로 -
- 중국, 베트남, 필리핀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습득이 주관적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외국인어머니와의 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약물사용자의 치료공동체 서비스이용 의사결정과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도움추구과정단계모형의 적용
- 사회복지 재난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 문제행동과 부정적 또래관계의 상호영향관계 : 부모 양육태도 수준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청소년의 충동성이 자해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질적 해석적 메타통합 : 한국노인의 삶의 의미
- 재입국 북한이주민*의 재정착 경험 - 탈북, 탈남에서 재입국까지 -
- 정신장애인 동료지원 프로그램으로서의 웰니스 회복 행동 계획 (WRAP)이 회복에 미치는 효과
- 원거주민의 경험을 통한 홍동마을공동체 유지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