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원거주민의 경험을 통한 홍동마을공동체 유지에 관한 연구
이용수 255
- 영문명
- A Study on the Maintenance of Hongdong Community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Residents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저자명
- 박은복(Park Eun-bok) 박정란(Park Jung-Ran)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복지연구』제10권 제1호, 233~271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홍동마을의 지역공동체가 어떻게 유지되고 있는지 질적사례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홍성군 홍동면 홍동마을의 원거주민들이며 심층면접을 통해 진행되었다.
사례 간 분석결과 ‘다른 단체와 지속적으로 연결’, ‘공공선을 이루어내기 위해 서로 협동’, ‘함께 이루어낸 것들에 대한 자부심’, ‘차이로 인한 어려움’과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연결고리’, ‘변화,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 의 총 여섯 가지 중심주제가 도출되었다. 분석결과 드러난 마을공동체 유지의 가치와 조건은 ‘높은 자부심’과 ‘연결’이었으며 이는 홍동마을공동체를 유지하는 선순환의 고리로 작동하고 있다.
이 같은 결과는 공생과 생태주의이론 그리고 연대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공생의경우 1970년대 선구적으로 시작한 유기농과 2000년대 중반까지 이루어졌던 ‘공동모’ 작업 등이 ‘공생할 수밖에 없는 현실의 상황’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 생태이론적 관점에서 홍동마을은 최초의 환경농업마을을 만들었고 보수 없이 노인돌봄에 참여하는 주민과그들을 둘러싼 사회환경은 하나의 생태계 속에서 서로 연결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홍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단체 간 개인 간의 연대활동은 대안공동체운동과 주민(시민)자치운동의 전형으로 홍동의 50여개의 민간단체와 주민자치회 등의 공공단체 간의 협력은본 연구의 질문인 공동체 유지에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to investigate how Hongdong community is maintained,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residents born in town. The results of the cross-case analysis revealed six major themes: continuous bridging with other organizations , mutual cooperation to create the public good , pride in what has been achieved together , difficulties due to differences , linkages to overcome differences , and changes that happen or do not happ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lues and conditions of maintaining the community are high self esteem and bridging . This works as a circle of virtuous circle that maintains the community of Hongdong.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by symbiosis theory, ecological theory, and solidarity theory.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건강사회복지사들의 임파워먼트 실천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지역사회 정신재활시설을 중심으로 -
- 중국, 베트남, 필리핀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습득이 주관적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외국인어머니와의 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약물사용자의 치료공동체 서비스이용 의사결정과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도움추구과정단계모형의 적용
- 사회복지 재난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 문제행동과 부정적 또래관계의 상호영향관계 : 부모 양육태도 수준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청소년의 충동성이 자해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질적 해석적 메타통합 : 한국노인의 삶의 의미
- 재입국 북한이주민*의 재정착 경험 - 탈북, 탈남에서 재입국까지 -
- 정신장애인 동료지원 프로그램으로서의 웰니스 회복 행동 계획 (WRAP)이 회복에 미치는 효과
- 원거주민의 경험을 통한 홍동마을공동체 유지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