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이 학교풍토 및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50

영문명
The Effects of Principal s Emotional Leadership on School Climate and School Effectiveness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김희규(Kim Hee-Kyu) 류춘근(Rhew Choon-Geun) 최상영(Choi Sang-yeong)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12권 제2호, 181~20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이 학교의 풍토 및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A광역시 중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306부의 자료를 사용하여 t-검증, 분산분석,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학교풍토, 학교효과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각각 M=3.63, M=3.26, M=3.96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특히 평교사보다 보직교사가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 학교풍토, 그리고 학교효과성에 대한 인식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은 학교풍토 및 학교효과성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r=.49, r=.47). 셋째,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은 학교풍토와 학교효과성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44.19%, 20.99%). 감성적 리더십의 하위변인 중 자기인식 능력은 학교풍토(β=.416, t=7.003)와 학교효과성(β=.340, t=3.046)에 의미있게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장은 자신의 감성적 리더십을 개발 및 촉진함으로써 허용적인 학교풍토 조성과 학교효과성을 높일 수 있기에 학교운영의 변화 모색을 지향하는 현 시점에서 학교장의 리더십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rincipal s emotional leadership on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teachers. The specific purposes of the study is to analyz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emotional leadership,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teacher s background variable. The study also analyzed correlation with the three variables and influences of emotional leadership upon sub-variables of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in gender and rank of teachers for the principal s emotional leadership, on the other h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ank for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variables and emotional leadership gav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creased when emotion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were input at the same time. In the end, it was known that in order to increas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use ability to recognize oneself among variables of emotional leadership, and variables of devoted behavior, friendly behavior, and indifferent behavior among variables of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can improv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organiz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규(Kim Hee-Kyu),류춘근(Rhew Choon-Geun),최상영(Choi Sang-yeong). (2014).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이 학교풍토 및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12 (2), 181-202

MLA

김희규(Kim Hee-Kyu),류춘근(Rhew Choon-Geun),최상영(Choi Sang-yeong).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이 학교풍토 및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12.2(2014): 181-2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