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폭력에 대한 인정 이론적 이해와 정책적 함의 탐색
이용수 79
- 영문명
- Viewing school bullying as a violation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Its implications for resolving bullying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김천기(Kim Cheon Gie)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2권 제2호, 133~15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교폭력을 자존감 훼손이나 보편적 인권과 존재 가치의 훼손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면, 상호주관적 인정관계이론이 적절하고 필요한 이론이라 할 수 있다. 인정관계이론은 이러한 측면에서 학교폭력을 이해하고, 비판할 수 있는 규범적 토대를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나아가, 인정관계이론은 학교폭력 발생으로 훼손된 상호인정관계의 회복실현을 중시할 뿐만 아니라, 예방적 차원에서 어떻게 상호인정관계를 구축해야 할 것인지를 논의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준다. 헤겔의 인정투쟁에 기초하여 인정관계이론을 발전시킨 호네트는 학교폭력 문제에 관심을 가지지는 않았지만, 우리는 학교폭력 해결이라는 목적을 염두에 두고, 인정관계이론의 논의를 발전시킬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인정관계이론의 관점에서 학교폭력을 새롭게 이해하고,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해결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학교폭력 대응의 차원에서 상호인정관계 회복이 얼마나 중요하며, 그것의 실현을 위해 어떠한 정책적 전환이 필요한지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정이론적 접근방식 속에 회복적 정의의 접근방식과 인권교육을 어떻게 보완·통합하고, 나아가 입시교육의 틀을 바꿈으로써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과 개성이 어떻게 존중받을 수 있도록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f it is valid to understand the school bullying as a damage to self-esteem, universal human rights or existence values, the theory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must be the most needed and proper theory. It is because the theory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provides normative foundations to understand and criticize the school bullying in terms of a damage to self-esteem, universal human rights or existence values. Moreover, the theory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not only places great emphasis on the restoration of inter-recognition relationship damaged by the school bullying, but also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to discuss how to establish the inter-recognition relationship in a precautionary aspect. Even though Axel Honneth s theory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which is based on Hegel s struggle for recognition , doesn t focus on the school bullying matter, we can develop the discussion of the theory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with resolving school bullying in mind.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chool bully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recognition struggle and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for resolving school bullying. And this study not only showed how important the restoration of inter-recognition relationship is in dealing with the school bullying, but also suggested what policy transitions were needed for realizing the restoration. Specifically, this research discussed ways of complementing and integrating restorative justi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light of the theory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thereby respecting student diverse abilities and individuality.
목차
Ⅰ. 서론
Ⅱ. 무관용주의 한계에 따른 회복적 정의의 부상
Ⅲ. 인정이론과 학교폭력의 이해
Ⅳ. 학교폭력 해결을 위한 인정이론의 함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