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폐교위기를 극복한 농촌의 한 작은 학교에 대한 질적 연구
이용수 113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a small rural school that overcame the planned closure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박승배(Park Seung-bae)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2권 제2호, 79~10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농촌의 한 작은학교가 폐교위기를 극복하고 부활하는 과정과 부활후 3년 동안 학교에서 일어난 변화를 살폈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다. 약3년간 평균 2주에 한 번꼴로 해당학교를 방문하여 학교에서 일어나는 일을 관찰하였다. 방문시 학교에 체류한 시간은 평균 3시간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폐교위기에 처한 본 연구의 관찰대상학교(전북 진안 장승초등학교)는 2011년에 학생 모집에 초점을 맞추었다. 학생은 인근 도시에서 확보하였다. 다음 해(2012년)에는 낡은 건물을 보수하고 개·증축하는 작업이 일어났다. 이 과정에서 학교구성원의 의사를 폭넓게 수렴하였다. 그 다음 해(2013년)에는 수업을 개선하는 작업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연구는 폐교위기의 작은학교를 살리고자하는 교사에게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scribe the process how a small rural school overcome the planned shut-down. The observed small rural school was Jangseung Elementary School(JES) in Jinan county of Chonbuk province. What I foun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first year, the JES focused on two things. One effort was to recruit students from nearby city area. Another effort was to make an attractive school curriculum for both parents and children. In the second year, the JES concentrated on fixing, remodeling, and adding school building in order to house the increased students and provide the best possible learning environment. In the process, ideas from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were gathered and reflected. In the third year, the JES teachers payed their attention to find a way to improve their teaching. To achieve this, teachers were engaged a workshop program called Seeing teachers teaching through children s eyes twice a month. Teacher who are interested in revitalization of a small rural school might get some insights and implications from this essay.
목차
Ⅰ. 서론
Ⅱ. 장승초의 설립·번성·쇠락
Ⅲ. 장승초의 부활
Ⅳ. 장승초에서 최근 3년간 일어난 일
Ⅴ. 요약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