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의 제한적 적용에 대한 질적 탐구

이용수  14

영문명
Limited transferability of explicit practical knowledge from teacher colleagues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윤석주(Yoon Seok-Ju)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12권 제2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동료 교사의 명시적 실천적 지식을 본인의 교육 맥락에서 사용하지 않거나 변형시켜 사용하는 경우 그 원인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서울 소재 4개 공립초등학교에 근무하는 11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면담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교사들이 동료교사의 명시적 실천적 지식을 본인의 교육 맥락에서 사용하지 않거나 변형시켜 사용하는 주요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이는 교사 특성의 상이함, 학생·학급 특성의 상이함, 운영 측면에서의 효율성 부족으로 나타났다. 동료교사의 명시적 실천적 지식을 수용하는 데에 있어서, 교사들은 자신이 당면한 교육 맥락의 주요 변수를 반성적으로 사고하여 해당 지식을 사용하지 않을지 혹은 변형시켜 사용할 지 숙고하였다. 이는 교사들이 동료교사의 명시적 실천적 지식의 적용·전이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일 때, 이러한 신념이 언제나 교직사회의 폐쇄적 개인주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전문가로서의 반성적 사고의 결과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why teachers thought explicit practical knowledge had limited transferability across classrooms. Through interviews with elev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of four schools at Seoul, the author found that teachers thought that teacher characteristics, student characteristics as individuals and groups, and inefficient managements in classrooms mainly contributed to limiting the transferability of explicit practical knowledge from their colleagues. Although teachers believed their contexts were so unique that their colleagues practical knowledge might not work, they did not always ignore or reject them either; Rather, teachers reflected and then made decisions to reject or modify explicit practical knowledge from their colleagues according to the “unique” factors in their contex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석주(Yoon Seok-Ju). (2014).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의 제한적 적용에 대한 질적 탐구. 교육종합연구, 12 (2), 1-23

MLA

윤석주(Yoon Seok-Ju). "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의 제한적 적용에 대한 질적 탐구." 교육종합연구, 12.2(2014):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