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의 학습동기, 사회성,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상대적 예측력

이용수  76

영문명
Learning Motivation, Social Skills and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s Predictors of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장성화(Sung-Hwa Jang) 윤향숙(Hyang-Suk Yoon) 김순자(Soon-Ja Kim) 박영진(Young-Jin Park)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8권 제2호, 140~157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8.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난 초등학생의 학습동기, 사회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 어떤 변인이 학교생활적응에 대해서 상대적 예측력이 높은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에 소재한 5개 초등학교 6학년 470명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질문지 28부를 제외한 442부를 최종자료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학습동기, 사회성,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변인에서 학교생활적응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학습동기 하위변인 중 학습에 대한 의욕과 학습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하며, 학습동기는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사회성 하위변인 중 공감적이해, 사교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하며, 사회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변인 중 자기조절효능감, 과제수준선호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하며, 학업적 자기 효능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학생의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난 학습동기, 사회성,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대적 예측력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성, 학습동기 순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ich variables are relatively more predictable for their school adjustment,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s learning motivation, social skills and academic self-efficacy that showed statistically-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in precedent research.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470 students of 6th grade from 5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mong whose questionnaires the researcher analyzed 442 copies of final data exclusive of 28 copies that were responded insincerel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sub-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learning motivation, social skills and academic self-efficacy turned out to have a statistically-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school adjustment. Second, in proportion as the students had higher rates of learning desire and learning attitude among sub-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learning motivation, they were better at school adjustment, and their learning desire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 for school adjustment. Third, in proportion as the students had higher rates of empathetic understanding and sociability among sub-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ocial skills, they were better at school adjustment, and their sociability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 for school adjustment. Fourth, in proportion as the students had higher rates of self-regulated efficacy and task-difficulty preference among sub-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they were better at school adjustment, and their self-efficacy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 for school adjustment. And fifth, with regard to relative predictabil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learning motivation, social skills and academic self-efficacy that showed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it turned out to be in the order of academic self-efficacy, social skills and learning motiv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성화(Sung-Hwa Jang),윤향숙(Hyang-Suk Yoon),김순자(Soon-Ja Kim),박영진(Young-Jin Park). (2010).초등학생의 학습동기, 사회성,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상대적 예측력. 교육종합연구, 8 (2), 140-157

MLA

장성화(Sung-Hwa Jang),윤향숙(Hyang-Suk Yoon),김순자(Soon-Ja Kim),박영진(Young-Jin Park). "초등학생의 학습동기, 사회성,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상대적 예측력." 교육종합연구, 8.2(2010): 140-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