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게임 장르에 따른 대학생의 게임중독과 자기주도 학습, 학교 적응 행동의 관계
이용수 56
- 영문명
- Relationships among Game Addic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School Adjustment Behaviors by Game Genre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최임숙(Im-Sook Choi) 서래원(Lai-Won Seo)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8권 제2호, 91~11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게임 중독을 이해하기 위하여, 남녀 대학생 519명을 대상으로 선호 게임 장르에 따른 게임 중독과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 수준과 학교 적응 행동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남자대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장르는 RPGㆍRTSㆍFPS 장르이었으며 여학생들은 캐주얼 장르의 선호율이 매우 높았다. 게임 중독의 위험이 높은 고중독 성향 집단의 비율은 17.3%로 나타났다. RPGㆍRTSㆍFPS 장르에서 고중독 성향 집단의 비율이 높았으며, RPG 장르의 중독 점수와 관여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캐주얼 장르의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 점수가 RPGㆍ FPSㆍ시뮬레이션 장르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학교 적응행동 수준에서는 게임 장르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game addic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behaviors of the college students by game genre. A total of 519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ale respondents preferred RPGㆍRTSㆍFPS game genre, while female respondents preferred the casual game genre. 17.3% of participants was a high-risk group of game addiction. Students who love RPGㆍRTS and FPS game genre were most included high-risk group of game addiction. Students who mainly play RPG game showed higher addiction score and engagement score than those who play other games.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asual game genre was higher than RPGㆍFPS and simulation game. The main effect of game genre on school adjustment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the need of continuous education program for preventing game addi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수능 수학 영역에서 선다형 문항 선지의 측정평가적 기능 검토 및 단답형 확대 제안
- 조건부확률 문제에 대한 구조적·해법적·맥락적 분석: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확률과 통계> 교과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