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슬기로운 생활’과 수업컨설팅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요구도
이용수 17
- 영문명
- Pre-Service Teachers Demand on Consulting for the Wise Life Teaching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장영숙(Jang Young-sook) 최일선(Choi Il-sun)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8권 제2호, 42~65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슬기로운 생활’과 수업컨설팅에 대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G교대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교사 123명이다. 본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은 ‘슬기로운 생활’과의 지도를 위해 요구되는 능력과 실제능력 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의 수업컨설팅에 대한 요구도 조사결과, 예비교사들 대부분은 수업컨설팅에 대한 필요성을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그 이유는 교과 내용에 따른 교수법 활용 능력을 키우기를 원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수업과정 중에서 컨설팅을 가장 받고 싶은 분야는 교과서의 활용 및 교재구성 방법에 대한 컨설팅이었다. 수업계획과 관련된 요소에서는 교수학습 방법 선정 및 계획, 수업실행과 관련된 요소에서는 발문과 피드백 등의 상호작용 방법, 수업평가와 관련된 요소에서는 학생평가에 대한 컨설팅을 받기를 원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수학습 지도영역 중 수업기술 및 방법관련 아이디어의 제공에 관한 컨설팅과 교수학습 지도방안 중 탐구학습 중심의 교수학습지도에 관한 컨설팅을 가장 받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컨설팅을 받는 시기로는 한 학기 동안 지속적으로 수업컨설팅을 받고 싶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수업컨설팅의 수업방법은 수업동영상과 수업자료를 바탕으로 한 대면 의견 교환이 가장 높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mand of consulting for the Wise Life teaching. For this, 123 pre-service teachers who are attending in 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sampl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quired ability and the actual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teaching of Wise Life. Second, most of pre-service teachers felt the necessity of consulting because they wanted to utilize the teaching method of the subject. Pre-service teachers needed consulting for the practical use of textbook and desired to have consulting for the planning of teaching method, interaction method, and student evaluation continuously for a semester. They preferred the face-to-face consulting method which can exchange opinions about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video clip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They also wanted consulting for the discovery learning method and the idea of teaching skill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수능 수학 영역에서 선다형 문항 선지의 측정평가적 기능 검토 및 단답형 확대 제안
- 조건부확률 문제에 대한 구조적·해법적·맥락적 분석: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확률과 통계> 교과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