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 경험이 유아의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9
- 영문명
- The Effects of Experiencing Activities to Foster Self-esteem on Young Children s Preschool Adjust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단현국(Dan Hyum Kook) 한은희(Han Eun H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13권 제2호, 169~19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 경험이 유아의 유치원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만 5세 유아 38명을 실험집단(19명)과 통제집단(19명)으로 하여 13주 동안 유아 1인당 주 2~3회, 총 31회의 실험처치가 이루어졌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른 유치원 일과운영에 맞추어 활동하였다. 그 결과,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 경험이 유아의 유치원 적응과 하위요소 중 친사회적 행동, 유치원 환경에서의 긍정적 정서, 유치원 생활에서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experiencing activities to foster self-esteem affects young children s Preschool Adjustment. For the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how does experiencing activities to foster self-esteem affect young children s preschool adjustment?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8 five-year-old children in Cheonan, Chungnam. One class of nineteen children(seven boys and twelve girls) w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lass of nineteen children(nine boys and ten girls) was the control group.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The questionnaire was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PAQ)’ translated/revised by Kim (2003). The researcher constructed the activities to foster self-esteem which consisted of 18activities appropriate for syoung children s Preschool Adjustment in reference to the Program Fostering Young Children s Self-esteem (Nokuwon and Nokurang Clinic, 2006), the Self-Growth Group Counseing Program (Oh, 2000), and the Project Spectrum (Krechevsky, 1998).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of young children s Preschool Adjustment by experiencing activities to foster self-esteem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 < .05. Specifically, among those sub-categories of young children’s Preschool Adjustment,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of prosocial behavior by experiencing activities to foster self-esteem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p < .01).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