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치원에서의 협력활동 경험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7

영문명
The Effects of Experiencing Collaborative Activities on Young Children s Peer Competence in Kindergarten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저자명
박순진(Park Soon Jin)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연구』제13권 제2호, 87~11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서의 협력활동 경험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 중 실험집단은 서울특별시 강북구에 소재한 S병설유치원 만5세 28명, 통제집단은 D병설유치원 만5세 28명이며, 연구도구는 박주희와 이은해(2001)의 취학 전 유아용 또래유능성 척도와 한은희(2009), 이나영(2008), 교육인적자원부(2006) 등의 관련연구를 토대로 재구성한 총15가지 협력활동이었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또래유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유치원에서 협력활동 경험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또래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향상시키는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experiencing collaborative activities effect young children s peer competence in kindergarten.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56 five-year-old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was 28(13 boys and 15 girls) five-year-old children of S kindergarten in Seoul Gangbuk-gu and the control group was 28(13 boys and 15 girls) five-year-old children of D kindergarten in Seoul Sungbuk-gu. The collaborative activities for experimental group is consisted of 15 activities constructed by researcher. After verifying as suitable for children s development and appropriate for theoretical validity educationally, these 15 activities were applied in the kindergarten s daily routine. For 12 weeks, the young children experienced collaborative activities 3~5 times per week, and totally 42 times. To measure young children s peer competence, the Peer Competence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Park & Rhee, 2001)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young children s peer competence by experiencing collaborative activiti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 .001.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young children s peer competence on sociability by experiencing collaborative activiti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 .001.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young children s peer competence on prosocial behavior by experiencing collaborative activiti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 .001. Four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young children s peer competence on leadership in peer relations by experiencing collaborative activiti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 .001.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순진(Park Soon Jin). (2011).유치원에서의 협력활동 경험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13 (2), 87-113

MLA

박순진(Park Soon Jin). "유치원에서의 협력활동 경험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13.2(2011): 87-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