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랫드 척수후각 단일세포 분리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Isolation and Electrical Characterization of the Rat Spinal Dorsal Horn Neurons
- 발행기관
- 대한약리학회
- 저자명
- 한성규(Seong Kyu Han) 류판동(Pan Dong Ryu)
- 간행물 정보
- 『대한약리학잡지』제32권 제2호, 283~29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pinal dorsal horn is the area where primary afferent fibers terminate and cutaneous sensory information is processed. A number of putative neurotransmitter substances, including excitatory and inhibitory amino acids and peptides, are present in this region. In this study, single neurons of the spinal dorsal horn were acutely isolated and the properties of whole cell current and responses to excitatory and inhibitory neurotransmitters were studied by patch clamp technique. Transverse slice ((300μm) of lumbar spinal cords from young rats(7 ~ 14 days) were sequentially treated with two pretenses(pronase 0.75 mg/ml and thermolysin 0.75 mg/ml), then single neurons were mechanically dissociated. These neurons showed near-intact morphology such as multipolar, ellipsoidal and bipolar, and pyramidal cells and we recorded the typical whole cell currents of K+, Ca2+ and ligand-operated channels from these neurons. Glutamate (30μM) and N-methyl-D-aspartate(NMDA, 30μM) induced inward currents of 117 ± 12.4 pA(n=5) and 49 ± 6.9 pA(n=3), respectively. Glycine (1μM) potentiated glutamate-induced currents 4 ~ 5 times and NMDA-induced currents 8 ~ 10 times. In addition, glycine (30μM) induced Inward current (31 ± 6.1 nA, n=2), which was rapidly desensitized after the peak to a new steady-state level. However, the inward currents induced by γ-amino butyric acid(GABA, 1μM) decreased continuously after the peak(226 ± 41.6 pA, n=3) under the similar experimental condition. The ionic currents and pharmacological responses of isolated neurons in this work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vivo or in vitro spinal cord slice, indicating that acutely isolated neurons could be effectively used for further pharmacological studi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lycerol이 흰쥐 신장에서의 Malondialdehyde 함량과 Superoxide Dismutase 활성도 및 요중 단백질 배설량과 N-acetyl-β-D-glucosaminid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허혈/재관류 심장의 산화손상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역할
- 혈관평활근세포에서 Cyclosporin A에 의한 Nitric Oxide 생성억제를 길항하는 실험적 중재법
- 흰쥐 대뇌피질에서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탈감작
- Phenylethanolamine N-methyltransferase: 부신, 뇌간, 시상하부 효소의 조절
- 랫드 간 Epoxide Hydrolase와 Glutathione S-Transferase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Progesterone의 효과
- 흰쥐 대뇌피질 신경세포에 미치는 호모시스틴의 신경독성에 대한 S-nitrosation의 역할
- 랫드 척수후각 단일세포 분리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허혈이 유발된 흰쥐 해마에서 Acetylcholine 유리에 미치는 Adenosine 수용체의 역할
- 기니픽 심근의 수축력과 세포내 Na+ 활성도에 미치는 α1-Adrenergic 수용체 자극효과
- 이자효소 분비에 관여하는 세포 내 조절 단백에 대한 연구
- 자궁평활근의 Carbachol 및 Oxytocin 수축에 있어서의 세포내 Ca2+ 동원
- 가역적상호대사과정 모델을 이용한 Prednisolone과 Prednisone의 약동학적 분석
- 허혈이 유발된 흰쥐 해마에서 Norepinephrine 유리에 미치는 Adenosine 수용체의 역할
- 랫트 배양 신경교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대한 Cytokine의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3호(2025년) 목차
- 국내외 폐의약품의 수거 현황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 성인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