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니픽 심근의 수축력과 세포내 Na+ 활성도에 미치는 α1-Adrenergic 수용체 자극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α1-Adrenergic Stimulation on Contractility and Intracellular Na+ Activity of Guinea Pig Ventricular Muscles
- 발행기관
- 대한약리학회
- 저자명
- 김진상(Jin Sang Kim) 강형섭(Hyung Sub Kang) 채수완(Soo Wan Chae) 이진옥(Chin Ok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약리학잡지』제32권 제2호, 189~20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yocardial α1-Adrenoceptors have been shown to mediate a biphaslc inotropic response that was characterized by a transient decline followed by a sustained increasing phase in guinea pig ventricular muscle. Recently one group reported that an α1-Adrenoceptors-induced intracellular Na+ decrease is linked to fast Na+ channel inhibition and another group reported that it is linked to Na+-K+ pump activation by α1b-adrenoceptors. But until now, its mechanism is not clear. Therefore, to see whether the Na+channel or Na+-K+ pump is related to a decrease in intracellular Na+ activity and/or the negative inotropic response, and which α1-Adrenoceptor subtype was involved in the decrease in intracellular Na+activity by phenylephrine, we used conventional and sodium selective microelectrodes, and tension transduc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α1-adrenergic stimulation on membrane potential, intracellular Na+ activity, and twitch force in guinea pig ventricular muscles. 10-5 M Phenylephrine produced a slight hyperpolarization of the diastolic membrane potential, a decrease or increase in aNia, and a biphasic inotropic response. The negative inotropic response accompanied by a decrease in intracellular Na+activity, whereas in muscles showing a remarkable positive inotropic response without initial negative inotropic effect was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intracellular Na+ activity. The decrease in intracellular Na+ activity was apparently inhibited by WB4101, an antagonist of the α1a-adrenoceptors. The decrease in intracellular Na+ activity caused by phenylephrine was not abolished or reduced by a block of the fast Na+ channels. Vmax also was not affected by phenylephrine. Phenylephrine produced an increase in intracellular Na+ activity in the presence of a high concentration of extracellular Ca2+ (in quiescent muscle) or phorbol dibutyrate, a protein kinase C activator(in beating muscle). These suggest that the α1a-adrenoceptors-mediated decrease in intracellular Na+ activity may be related to the protein kinase C.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lycerol이 흰쥐 신장에서의 Malondialdehyde 함량과 Superoxide Dismutase 활성도 및 요중 단백질 배설량과 N-acetyl-β-D-glucosaminid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허혈/재관류 심장의 산화손상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역할
- 혈관평활근세포에서 Cyclosporin A에 의한 Nitric Oxide 생성억제를 길항하는 실험적 중재법
- 흰쥐 대뇌피질에서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탈감작
- Phenylethanolamine N-methyltransferase: 부신, 뇌간, 시상하부 효소의 조절
- 랫드 간 Epoxide Hydrolase와 Glutathione S-Transferase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Progesterone의 효과
- 흰쥐 대뇌피질 신경세포에 미치는 호모시스틴의 신경독성에 대한 S-nitrosation의 역할
- 랫드 척수후각 단일세포 분리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허혈이 유발된 흰쥐 해마에서 Acetylcholine 유리에 미치는 Adenosine 수용체의 역할
- 기니픽 심근의 수축력과 세포내 Na+ 활성도에 미치는 α1-Adrenergic 수용체 자극효과
- 이자효소 분비에 관여하는 세포 내 조절 단백에 대한 연구
- 자궁평활근의 Carbachol 및 Oxytocin 수축에 있어서의 세포내 Ca2+ 동원
- 가역적상호대사과정 모델을 이용한 Prednisolone과 Prednisone의 약동학적 분석
- 허혈이 유발된 흰쥐 해마에서 Norepinephrine 유리에 미치는 Adenosine 수용체의 역할
- 랫트 배양 신경교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대한 Cytokine의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3호(2025년) 목차
- 국내외 폐의약품의 수거 현황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 성인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