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허혈이 유발된 흰쥐 해마에서 Acetylcholine 유리에 미치는 Adenosine 수용체의 역할
이용수 3
- 영문명
- The Role of Adenosine Receptor on Acetylcholine Release from Ischemic-Induced Rat Hippocampus
- 발행기관
- 대한약리학회
- 저자명
- 최봉규(Bong Kyu Choi) 김도경(Do Kyung Kim) 강헌(Hun Kang) 전재민(Jae Min Jeon) 강연욱(Yeon Wook Kang)
- 간행물 정보
- 『대한약리학잡지』제32권 제2호, 127~13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effects of adenosine analogues on the electrically-evoked acetylcholine(ACh) release and the influence of ischemia on the effects were studied in the rat hippocampus. Slices from the rat hippocampus were equilibrated with 0.1μM [3H]-choline and the release of the labelled product, [3H]-ACh, was evoked by electrical stimulation(3 Hz, 2 ms, 5 VCmγ and rectangular pulses for 2 min), and the influence of various agents on the evoked tritiumoutflow was investigated. Ischemia(10 min with 95% N2 + 5% CO2) increased both the basal and evoked ACh release. These increases were abolished by glucose addition into the superfused medium, and they significantly inhibited either by 0.1 & 0.3μM TTX pretreatment or by removing Ca++ in the medium. MK-801(1 ~ 10μM), a specific NMDA receptor antagonist, and glibenclamide (1μM), a K+-channel inhibitor, did not alter the evoked ACh release and nor did they affect the ischemia-induced increases In ACh release. However, polymyxin B(0.03 mg), a specific protein kinase C inhibitor,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ffects of ischemia on the evoked ACh release. Adenosine and N^6-cyclopentyladenosine decreased the ACh release in a dose dependent manner in ischemic condition, though the magnitude of inhibition was far less than those in normal(normoxic) condition. However, the treatment with 5μM DPCPX, a potent A1-adenosine receptor antagonist, potentiated the ischemia-effe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voked-ACh release is potentiated by ischemia, and this process being most probably mediated by protein kinase C, and that the decreased effect of ACh release mediated by A1-adenosine receptor is significantly inhibited in ischemic stat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lycerol이 흰쥐 신장에서의 Malondialdehyde 함량과 Superoxide Dismutase 활성도 및 요중 단백질 배설량과 N-acetyl-β-D-glucosaminid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허혈/재관류 심장의 산화손상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역할
- 혈관평활근세포에서 Cyclosporin A에 의한 Nitric Oxide 생성억제를 길항하는 실험적 중재법
- 흰쥐 대뇌피질에서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탈감작
- Phenylethanolamine N-methyltransferase: 부신, 뇌간, 시상하부 효소의 조절
- 랫드 간 Epoxide Hydrolase와 Glutathione S-Transferase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Progesterone의 효과
- 흰쥐 대뇌피질 신경세포에 미치는 호모시스틴의 신경독성에 대한 S-nitrosation의 역할
- 랫드 척수후각 단일세포 분리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허혈이 유발된 흰쥐 해마에서 Acetylcholine 유리에 미치는 Adenosine 수용체의 역할
- 기니픽 심근의 수축력과 세포내 Na+ 활성도에 미치는 α1-Adrenergic 수용체 자극효과
- 이자효소 분비에 관여하는 세포 내 조절 단백에 대한 연구
- 자궁평활근의 Carbachol 및 Oxytocin 수축에 있어서의 세포내 Ca2+ 동원
- 가역적상호대사과정 모델을 이용한 Prednisolone과 Prednisone의 약동학적 분석
- 허혈이 유발된 흰쥐 해마에서 Norepinephrine 유리에 미치는 Adenosine 수용체의 역할
- 랫트 배양 신경교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대한 Cytokine의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3호(2025년) 목차
- 국내외 폐의약품의 수거 현황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 성인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