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랫트 배양 신경교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대한 Cytokine의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 of Cytokines on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the Glial Cells from Rat Brain in Culture
- 발행기관
- 대한약리학회
- 저자명
- 김혜경(Hae Kyoung Kim) 윤용하(Yong Ha Youn) 강신정(Shin Chung Kang) 박찬웅(Chan Woong Park) 김용식(Yong Sik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약리학잡지』제32권 제2호, 177~18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effects of cytokines on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glial cells in culture were evaluated to confirm that cytokines could modify the number and function of glial cells. Proliferation of glial cells was determined by the 3H-thymidine uptake and the double immunostain with anti-cell specific marker and anti-bromodeoxyuridine(BrdU) antibody. To check the effect on the differentiation of glial cells, the amount of glial fibrillar acidic protein(GFAP) and the activity of glutamine synthetase(GS) were measured in astrocytes. And also the amounts of myelin basic protein(MBP) and the activity of 2 ,3 -cyclic nucleotide phosphohydrolase(CNPase) were measured in oligodendrocytes. Among the cytokines used, only interleukin-1β(IL-1β) stimulated the growth of type 1 and type 2 astrocyte as well as 0-2A precursor cell. When the functional changes in these glial cells by cytokines were tested, IL-1β did not increase GFAP content in type 1 and type 2 astrocyte, but IL-1β increased GS activity in type 1 astrocyte, and slightly decreased this enzyme activity in type 2 astrocyte. Also interleukin-2(IL-2) and interferon-γ (IFN-γ) inhibited the activity of GS in type 1 and type 2 astrocyte. On the other hand, all cytokines used did not modify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in oligodendrocytes. From these results we could suggest that IL-1β increases the growth of type 1 and type 2 astrocyte and also promotes the development for 0-2A precursor cell to type 2 astrocyt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lycerol이 흰쥐 신장에서의 Malondialdehyde 함량과 Superoxide Dismutase 활성도 및 요중 단백질 배설량과 N-acetyl-β-D-glucosaminid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허혈/재관류 심장의 산화손상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역할
- 혈관평활근세포에서 Cyclosporin A에 의한 Nitric Oxide 생성억제를 길항하는 실험적 중재법
- 흰쥐 대뇌피질에서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탈감작
- Phenylethanolamine N-methyltransferase: 부신, 뇌간, 시상하부 효소의 조절
- 랫드 간 Epoxide Hydrolase와 Glutathione S-Transferase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Progesterone의 효과
- 흰쥐 대뇌피질 신경세포에 미치는 호모시스틴의 신경독성에 대한 S-nitrosation의 역할
- 랫드 척수후각 단일세포 분리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허혈이 유발된 흰쥐 해마에서 Acetylcholine 유리에 미치는 Adenosine 수용체의 역할
- 기니픽 심근의 수축력과 세포내 Na+ 활성도에 미치는 α1-Adrenergic 수용체 자극효과
- 이자효소 분비에 관여하는 세포 내 조절 단백에 대한 연구
- 자궁평활근의 Carbachol 및 Oxytocin 수축에 있어서의 세포내 Ca2+ 동원
- 가역적상호대사과정 모델을 이용한 Prednisolone과 Prednisone의 약동학적 분석
- 허혈이 유발된 흰쥐 해마에서 Norepinephrine 유리에 미치는 Adenosine 수용체의 역할
- 랫트 배양 신경교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대한 Cytokine의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3호(2025년) 목차
- 국내외 폐의약품의 수거 현황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 성인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