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랫드 간 Epoxide Hydrolase와 Glutathione S-Transferase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Progesterone의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Progesterone Effects on Microsomal Epoxide Hydrolase and Glutathione S-transferease mRNA Levels in Rats
- 발행기관
- 대한약리학회
- 저자명
- 조주연(Joo Youn Cho) 김상건(Sang Geon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약리학잡지』제32권 제2호, 233~24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glucocorticoid suppresses microsomal epoxide hydrolase(EH) gene expression and that EH expression is altered during pregnancy. The effects of progesterone on the expression of rat EH and certain glutathione S-transferase(GST) gene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Northern RNA blot analysis revealed that progesterone was effective in increasing hepatic EH mRNA levels at 12 h to 48 h after treatment with a maximal 9-fold increase being noted at 12 h time point. Nonetheless, multiple daily treatment with progesterone rather caused minimal relative increases in EH mRNA levels. GST Ya and Yb1/2 mRNA levels were also transiently elevated at 12 h after progesterone treatment, followed by gradual decreases from the maximal Increases at day 1, 2 and 5 post-treatment. These changes in EH and GST mRNA levels were noted only at a relatively high dose of progesterone. Furthermore, immunoblot analyses showed that rats treated with progesterone for 5 days failed to show EH or GST induction, indicating that progesterone-induced alterations in EH and GST mRNA levels do not reflect bona fide induction of the detoxifying enzymes. Concomitant progesterone treatment of rats with the known EH inducers including ketoconazole and clotrimazole failed to additively nor antagonistically alter EH mRNA levels. In contrast, dexamethasone substantially reduced ketoconazole- or clotrimazole-inducible EH expres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progesterone stimulates the EH, GST Ya and Yb1/2 gene expression at early times followed by marked reduction in the RNA levels from the maximum after multiple treatment and that the changes in mRNA do not necessarily reflect induction of the protein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lycerol이 흰쥐 신장에서의 Malondialdehyde 함량과 Superoxide Dismutase 활성도 및 요중 단백질 배설량과 N-acetyl-β-D-glucosaminid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허혈/재관류 심장의 산화손상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역할
- 혈관평활근세포에서 Cyclosporin A에 의한 Nitric Oxide 생성억제를 길항하는 실험적 중재법
- 흰쥐 대뇌피질에서 A1 아데노신 수용체의 탈감작
- Phenylethanolamine N-methyltransferase: 부신, 뇌간, 시상하부 효소의 조절
- 랫드 간 Epoxide Hydrolase와 Glutathione S-Transferase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Progesterone의 효과
- 흰쥐 대뇌피질 신경세포에 미치는 호모시스틴의 신경독성에 대한 S-nitrosation의 역할
- 랫드 척수후각 단일세포 분리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허혈이 유발된 흰쥐 해마에서 Acetylcholine 유리에 미치는 Adenosine 수용체의 역할
- 기니픽 심근의 수축력과 세포내 Na+ 활성도에 미치는 α1-Adrenergic 수용체 자극효과
- 이자효소 분비에 관여하는 세포 내 조절 단백에 대한 연구
- 자궁평활근의 Carbachol 및 Oxytocin 수축에 있어서의 세포내 Ca2+ 동원
- 가역적상호대사과정 모델을 이용한 Prednisolone과 Prednisone의 약동학적 분석
- 허혈이 유발된 흰쥐 해마에서 Norepinephrine 유리에 미치는 Adenosine 수용체의 역할
- 랫트 배양 신경교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대한 Cytokine의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3호(2025년) 목차
- 국내외 폐의약품의 수거 현황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 성인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