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의 ?교실붕괴? 현상에 따른 교육과정 구성과 교사의 역할 변화

이용수  214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일본교육학회
저자명
정영근
간행물 정보
『한국일본교육학연구』제12권 제1호, 57~7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8.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일본의 교실붕괴 현상을 집단주의 학교문화의 변화라고 하는 관점에서 검토하여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의 역할을 밝히고자 하는 데 있다. 여여기서 말하는 교실붕괴라 는 것은 오늘날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에서 교사의 수업진행과 무관한 또는 방해하는 학생들의 행위로 인하여 수업이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되는 상태를 가리키는 용어로, 일본에서는 學級崩壞, 授業崩壞, 學級解體, 學級溶解 등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고찰의 결과, 일본의 집단주의는 和의 문화 및 집단 또는 조직의 종적 관계, 네마와시 문화 등 에 강하게 뿌리는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집단주의가 학교에도 상당히 영향을 미쳐 집 단주의적 학교문화를 형성하고, 그것은 관리적 교육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집단주의에 기반을 둔 관리적 교육의 특징은 통일성을 지향하고 있다. 관리적 교육은 대집단의 학생을 대상 으로 시간 및 비용의 절감, 학생의 효율적?효과적 통제에 유요한 것이다. 이러한 집단주의에 따른 관리적 교육 및 관리적 지도방식은 교실붕괴 현상이 생겨나기 이전에는 통용되었다. 그러나 교실 붕괴 현상이 진전되고 있는 오늘날, 관리적 교육의 축을 이루는 학생의 집단주의 문화와 가정의 집단주의 문화가 붕괴되었다. 그 결과 학생은 일본 특유의 관리적 교육의 유지?존속에 필요한 집 단주의 문화를 체득할 기회가 상실되었다. 본고에서는 교실붕괴의 현상에 대응하는 한 방안으로 ‘가르치는 교육과정 구성’에서 ‘배우는 교 육과정 구성’으로의 전환을 제안한다. 또한 교사의 역할에 있어서도 교실붕괴 현상 하에 있는 오 늘날 학생의 다양성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교사는 교육과정 전달자 또는 사용자에서 개발자 또는 결정자로의 전환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근. (2007).일본의 ?교실붕괴? 현상에 따른 교육과정 구성과 교사의 역할 변화.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2 (1), 57-73

MLA

정영근. "일본의 ?교실붕괴? 현상에 따른 교육과정 구성과 교사의 역할 변화."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2.1(2007): 57-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