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존 듀이의 경험적 프라그마티즘 미학의 예술교육적 함의
이용수 332
- 영문명
- An Implication for Art Education in Experiencial Pragmatic Aesthetics of Johm Dewey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김연희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29호, 69~112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1.01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학과 미술교육의 만남을 시도하는 본 연구는 예술교육의 철학에 대한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미술교사에게 지침이 되어 줄 예술교육의 철학과 예술에 대한 개념적 이해가 없이는 유능한 교사들도 뿌리 없이 부유하게 만들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의 미술교육이 순조롭게 수행되고 그 내용이 더 나아간 실천을 위해 하나의 의미로 축적되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예술교육의 원리들을 발굴하고 제안하는 일이 필요하다. 또한 현실의 미술교육 이론들에서 모호하게 사용되는 개념들이 가진 미학적 철학적 배경과 그 의미를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그러한 반성적 사고를 바탕으로 우리 미술교육의 지향적 목표를 분명히 하고, 그에 맞추어 현실의 미술 교육적 실천을 개선해가는 일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 글은 예술교육에 있어 철학적 분석 그 자체가 목적은 아니며, 그것은 어디까지나 미술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구체적인 문제들을 해결해 나감에 있어 적용되어야하는 일종의 준거 틀을 미리 확보하자는 의미이다. 미학과 미술교육학의 경계를 넘어서려는 본 연구는 최근 학문의 분위기, 즉 학문의 분과적 분리체제를 넘어서 통합연구를 지향하는 학계의 전반적인 동향과도 맥을 함께한다. 어느 분과의 학문이든 인접 학문의 성과를 수용하고 연계하지 않으면 자기 분과의 전체를 바라보기 힘든 상황에서 ‘예술’이 위치한 미학의 영역과 ‘교육’이 위치한 교육학 영역사이의 경계 허물기는 당연하다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a philosophy of art education Curriculum from
1960' to postmodern age based on John Dewey's pragmatist aesthetic. Pragmatism
as a method of my research suits my purpose to clarlify aesthetic theories and
notions to be traced in the curriculum of art education, because the pragmatic method
is to try to interpret each notion by tracing its respective practical concequences.
John Dewey is the only philosopher of pragmatic philosohhy to complete his own
aesthetic theory as “art as experience”. For Dewey, the primary task of aesthetics
is to restore constitute between the refined and intensified forms of experience that
are works of art and the everyday events, doings, and sufferings that are
universally recognized to constitute experience. Dewey's aesthetic naturalism aimed
at recovering the continuty of esthetic experience with nomal processs of living is
part of his attempt to break the stifling hold of the compartmental conception of
fine art, and fits in the atmosphere of postmodern culture. therefore, Dewey
became the most influential tewenty-century figure of pragmatism.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폐장애유아를 위한 미술치료교육 프로그램 연구
- 예비 미술교사들의 교육실습
- Dewey의 일상의 미적경험에 비추어 본 유아미술활동의 교육적 의미
- 초ㆍ중ㆍ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의 실내디자인교육 운영에 관한 연구
- 조셉 코넬의 앗상블라주 조각의 형식과 의미 해석 연구
- 미술교육에서 미학적 요소의 도입
- 평생교육으로서 노인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 초등교사교육을 위한 미술교육과 심화과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디지털 환경에서 커뮤니케이션 관점의 감성디자인 연구영역에 관한 연구
- 미술가의 사회적 역할과 교육에 대한 미술대학 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질적연구
- 한국 근대 초등미술교육 변천사 연구
- 현상학적 관점에 기초한 유, 아동의 미적지각활동 이해를 위한 질적 사례연구
- 존 듀이의 경험적 프라그마티즘 미학의 예술교육적 함의
- 생태학적 미술교육과정
- 초, 중, 고 미술과 교과서를 위한 현대미술 교육내용 개발과 체계화 연구
- 디자인 발명 촉진을 위한 용도 발상과 조형전개에 관한 연구
- <시각문화>의 확대와 새로운 미술이론 교육의 가능성
- 초등 미술 수업 딜레마에 관한 질적 연구
- 주요 외국 박물관교육 사례를 통해 본 한국 사립박물관 교육의 개선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