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교사교육을 위한 미술교육과 심화과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용수  109

영문명
A Study on the Program Development of In-depth Art Education Courses for Pre-service Primary Teachers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김상준,이주연,박동진,장동호,류지영,류재만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29호, 1~45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1.01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4년도 ‘초등교사교육을 위한 교과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2005년도 ‘초등교사교육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확산’에 이어 2006년도에 연계적으로 진행된 ‘교육인적자원부 교대 발전 방안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과제로서, ‘초등교사교육을 위한 미술교육과 심화과정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교육대학교의 심화과정은 초등학교 현장에 기초하여 각 교과의 토대를 이루는 필수 이수 과목의 학습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초등교사로서 자신감을 가지고 교과 지도를 할 수 있는 심화된 능력뿐만 아니라, 초등학교 현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교육적 과제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육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심화과목은 초등교과교육 및 교과 내용에 관해 깊이 있는 전문적 자질을 기를 수 있는 과목, 즉, 초등학교의 교과 내용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면서 동시에 이를 학문적으로 깊이 있게 이해하도록 하는 과목이라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for the program development of the in-depth art-education course for pre-service primary teacher education. Thus, the in-depth course and its programs in every eleve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in order to develop the model program with concrete written coursework.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executed. In-depth course and its programs in art education department for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focused not for art majors or education majors, but for pre-service primary teachers who are art-education majors. It is possible to be provided for the character of in-depth course program as the college of education by educate of the special content of the research on the subject education whole with the art education (theory, didactics, and practice teaching and the major fields studies(theory, practice, and education of practice) being deeply done as an educational study through the interaction. This study aimed at the improvement of the instructional abilities for every expressional and required skills in art subject as well as research abilities in primary art education for art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better result in its improvement, researches should be follow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준,이주연,박동진,장동호,류지영,류재만. (2007).초등교사교육을 위한 미술교육과 심화과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조형교육, (29), 1-45

MLA

김상준,이주연,박동진,장동호,류지영,류재만. "초등교사교육을 위한 미술교육과 심화과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조형교육, .29(2007): 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