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역기능적 진로사고, 정서지능, 학업몰입 간의 관계
이용수 111
-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Among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of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송선희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25권 제1호, 267~28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 333명을 대상으로 진로에 대한 역기능적 사고와 학업 몰입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두 변인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역할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사고검사, 정서지능 척도, 학업몰입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고 변인들 간의 상관 및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높을수록 정서지능과 학업몰입은 낮아지고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학업몰입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지능이 역기능적 진로사고와 학업몰입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진로지도 및 교육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and learning flow and to test the mediation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We analysed the data 333 university students. We confirmed correlations among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and examined that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would predict the learning flow through the medi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Finding revealed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were associated with a lower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exper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on learning flow. The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are discussed based on result of the present stud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참여 학습 중심의 경영컨설팅개론 수업 개발 및 적용 사례연구
- 대학교수의 액션러닝 수업개발 경험에 관한 연구
- 대학 교수의 성공적인 수업에 대한 인식과 수업성찰
- 교수의 수업 포트폴리오 내용 분석 -교육철학과 수업성찰 내용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고학년의 휴대폰 중독 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주성분 분석과 대응일치분석을 통한 4년제 대학졸업예정자들의 대학생 학습 경험 탐색 연구
- 효과적인 학교현장실습 요인들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 중고등학생의 창의성 발달 경향 분석
- 대학생의 역기능적 진로사고, 정서지능, 학업몰입 간의 관계
- 고등교육에서 이러닝 공개교육자료의 현 사용 실태를 통한 학습자의 요구 분석
- 대학생의 과제물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그림과 텍스트 자료를 활용한 협력학습이 학습자의 인지부하 및 마인드맵 작성에 미치는 효과
- 대학 수업 평가환경에 따른 성취목표의 차이와 유능감과의 관계
- PBL에 나타난 학습의 재미요소 추출과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