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효과적인 학교현장실습 요인들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이용수  62

영문명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Factors Determining Effective Student Teaching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강숙희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25권 제1호, 51~6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8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질 향상을 위해 학교현장실습 운영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실습 당사자인 예비교사들은 어떤 요인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를 개념도 연구법을 적용하여 분석해 보았다. 실습을 마친 25명의 예비교사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이 생각하는 효과적인 실습 요인으로 최종 42개의 아이디어들이 산출되었다. 이 아이디어들을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동일 내용영역이라고 판단되는 것끼리 분류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아이디어 각각에 대해 중요도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다차원분석과 계층적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해 본 결과, 예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효과적인 실습 요인들은 5개의 군집-‘실습교의 행정 및 지원’, ‘대학교의 행정 및 지원’, ‘수업 준비 및 운영’, ‘예비교사로서의 자세’, ‘대인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념도에 표상된 2개의 차원은 ‘제도적 대 개인적’과 ‘학교현장 대 대학’ 차원으로 해석되었다. 예비교사들은 5개의 군집 중에서는 ‘예비교사로서의 자세’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대인관계’, ‘수업 준비 및 운영’, ‘대학교의 행정 및 지원’, ‘실습교의 행정 및 지원’의 순으로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요인으로는 ‘실습 전에 수업지도안 및 학습지 작성 훈련’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장 단정’은 상대적으로 가장 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실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지원 뿐 아니라 예비교사 자신의 개인적인 노력이 요구되며, 대학에서의 이론 교육과 현장에서의 실제 교육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인식을 예비교사들이 갖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factors determining effective student teach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ed the concept-mapping method. Twenty-five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just finished student teaching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and think about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student teaching. As a result, 42 key perceptions were derived. They were also asked to group similar ones and rate the importance of each one.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methods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imensions and clusters of their perceptions. Finally, five clusters - namely, ‘school's administrative supports’, ‘university's administrative supports’, ‘teaching’,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were identified under the two dimensions - ‘institutional vs. personal’ and ‘school vs. university’. The pre-service teachers rated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as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five clusters while they considered ‘practice of making teaching plan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 that both institutional supports and personal efforts, and both education at university and practical teaching at school should go hand in hand to achieve an effective student teaching based on their on-the-job experienc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숙희. (2013).효과적인 학교현장실습 요인들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교육방법연구, 25 (1), 51-67

MLA

강숙희. "효과적인 학교현장실습 요인들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교육방법연구, 25.1(2013): 51-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