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수의 수업 포트폴리오 내용 분석 -교육철학과 수업성찰 내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168
- 영문명
- Content Analysis of the Professors' Teaching Portfolios - Focused on Educational Philosophy and Reflections on Teaching -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길양숙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25권 제1호, 219~24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 국립대학의 교수 40명이 작성한 수업 포트폴리오의 ‘교육철학’과 ‘수업성찰’을 중심으로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포트폴리오 작성을 통해 얻게 된 효과와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첫째, ‘교육철학’은 20% 미만의 교수만이 구체적으로 진술하였으며, 대부분은 교육철학을 진술하라는 요구를 이해하지 못했고, 안내문에서 지시한 ‘대학의 목표와 관련짓는 일’도 어려워했다. 그리하여 목표는 일반적으로 진술되는데 그치고, 과목의 목표가 구체화되지 못하였다. 둘째, 교육철학의 진술에는 종종 교육방법이 생략되고, 진술된 수업방법은 구체적이지도 목표와 연결되지도 않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셋째, 수업성찰 내용에는 교수들이 발견한 성과와 문제점이 다양하게 진술되었고, 구체성의 정도도 다양했다. 수업성찰이 교수를 보다 학생중심, 이해중심, 소통과 참여중심으로 변화하게 하고, 수업을 개선하게 하는 효과도 있었다. 그러나 TP 작성과정을 충분히 관리하지 않아 성찰내용이 학기말에 한 번 작성된 경우가 많아 성찰의 효과를 극대화하지 못했다. 이런 문제점은 수업 포트폴리오를 장려하는 프로그램이 시행시기를 학기시작 전으로 앞당기고, 사전에 교육기초 교육, TP 개발 교육을 제대로 하고, 모니터링, 상담지원을 학교차원에서 강화할 필요를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eaching portfolios of 40 college professors to diagnose the problems and find conditions for successful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only some professors described educational philosophy concretely; rest of them did not understand the requirements and the direction to relate it to the university vision. Secondly, teaching methods were frequently deleted in their description of educational philosophy and were not related to their educational goals. Thirdly, content of their reflection on teaching was diverse and the degree of concreteness was also varied. Reflection helped the professors turn to student, understanding,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centered. However, reflection was mostly done at the end of the semester due to poor monitoring and so the amount of reflection was limited to a half page most of the time. From these results, suggestions to start early and educate teachers with theory and practice well enough to write teaching portfolio to the requirement and to monitor continuously in addition to providing consulting.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참여 학습 중심의 경영컨설팅개론 수업 개발 및 적용 사례연구
- 대학교수의 액션러닝 수업개발 경험에 관한 연구
- 대학 교수의 성공적인 수업에 대한 인식과 수업성찰
- 교수의 수업 포트폴리오 내용 분석 -교육철학과 수업성찰 내용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고학년의 휴대폰 중독 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주성분 분석과 대응일치분석을 통한 4년제 대학졸업예정자들의 대학생 학습 경험 탐색 연구
- 효과적인 학교현장실습 요인들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 중고등학생의 창의성 발달 경향 분석
- 대학생의 역기능적 진로사고, 정서지능, 학업몰입 간의 관계
- 고등교육에서 이러닝 공개교육자료의 현 사용 실태를 통한 학습자의 요구 분석
- 대학생의 과제물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그림과 텍스트 자료를 활용한 협력학습이 학습자의 인지부하 및 마인드맵 작성에 미치는 효과
- 대학 수업 평가환경에 따른 성취목표의 차이와 유능감과의 관계
- PBL에 나타난 학습의 재미요소 추출과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