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lozapine이 흰쥐의 血液과 骨髓 및 肝組織에 미치는 影響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Clozapine on the Peripheral Blood, Bone Marrow and Liver in Rats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정성훈 임효덕 조희중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34권 제2호, 573~58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5.03.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lozapine, which has a superior therapeutic effect on psychotic symptoms resistant to the
classical antipsychotics,has been limited in its clinical use due to its high incidence of agranulocytosis.
In some foreign countries, however, clozapine is being approved for its effective application
based on appropriate clinical guideline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various researches.
Yet, in our country, this is still in the stage o f preliminary clinical experiments with other
related researches not well on the way. Thus the authors conducted a study of clozapine’s
effects, with animals as subjects, on peripheral blood, bone marrow and liver tissue, to come
up with basic information concerning the side effects o f clozapine.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o be injected with clozapine, haloperidol and normal
saline (control) for 28 days. The peripheral blood, bone marrow and liver tissue from each
group were studied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1) In peripheral blood, the group with clozapine showed increased leukocytes and decreased
platelets while the one with haloperidol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compared with the control.
2) In bone marrow, both the groups with clozapine and haloperidol were observed without
much difference from the control.
3) In histological changes of the liver tissue, the clozapine group was infiltrated with inflammatory
cells around the portal area while the haloperidol group showed minimal infiltration,
with no change in the control.
In this study, the most observable change is thrombocytopenia which is known to have
rare incidence am ong the blood dyscrasia with clozapine in hum ankind. From the fact that
no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hematopoietic cells including megakaryocytes, this study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the cause of thrombocytopenia as due to immune mechanism rather
than toxic mechanism. In consideration of the limit of the method adopted in this study,
however, further complementary studies are required for a concrete clarification of clozapineinduced
thrombocytopenia.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 과
고 찰
요 약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lozapine이 흰쥐의 血液과 骨髓 및 肝組織에 미치는 影響
- 80년대 신경정신의학에 발표된 논문의 진단 체계의 관한 연구
- Lithium이 人體의 내분비기능에 미치는 영향
- 만성 정신분열증환자의 보체성분 C4A 그리고 C4B의 이인자형 빈도에 관한 연구
- 어느 精神科醫師가 꾼 다섯 개의 꿈
- 외상성 두부 손상 환자의 정량화 뇌파 : 핵자기공명영상과 단일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촬영과의 비교
- 元曉의 心性論에 관한 分析心理學的 研究
- 내과 입원환자에서의 우울증상의 양상에 대한 연구
- 韓國版 强迫尺度의 開發을 위한 豫備研究 — Modified Leyton Obsessional Inventory의 信賴度 및 妥當度 檢證 一
- 정신분열증환자의 혈청 NK 세포활성도에 관한 연구
- 노인 기능 상태 평가의 신뢰도
- Lithium 및 Carbamazepine 이 Apomorphine으로 유도된 일측 흑질체 파괴 백서의 회전운동에 미치는 영향
- Fluoxetine 약물치료를 받은 강박장애환자에서 세로토닌 효현제인 MK-212투여에 따른 체온 및 Prolactin 반응의 강화
- 주정중독환자 가족의 스트레스 지각 및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 주정중독 환자 자녀들의 성격특성
- 국군O O 병원 정신과 입원환자의 추적조사
-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Sertraline의 병합투여가 혈장 Haloperidol 농도에 미치는 효과
-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항정신병 약물의 병용제로서 투여한 Glycine의 임상적 효과에 관한 연구
- 어머니를 구타한 정신과 환자
- 우울증 환자에서 Acute Phase Plasma Proteins 농도 변화에 대한 예비 연구
- Haloperidol, Amitriptyline 및 Lithium이 인간조직적합성항원(HLA) 형의 결정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기의 물질남용에 관한 예비적 연구
- 양극성 우울증 및 정신분열병환자의 혈청 Tryptophan 능도에 관한 연구
- 노망에 대한 태도조사 ㅡ 일반인을 대상으로 ᅳ
- 精神分裂病 患者의 눈의 追跡運動異常: 4 個月後의 追跡研究
- Clozapine 치료에 따른 일과성 야뇨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