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韓國版 强迫尺度의 開發을 위한 豫備研究 — Modified Leyton Obsessional Inventory의 信賴度 및 妥當度 檢證 一
이용수 2
- 영문명
- A Prdiminax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Modified Leyton Obsessional Inventory-Korean Version — Evaluation o 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元勝喜 姜秉祥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34권 제2호, 484~500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5.03.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 a self-reporting scale evaluating obsessional symptom, the M odified Leyton Obsessional
Inventory is being used, which was developed by Cooper(1970) and modified and complem
ented by Frankel et al(1986).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 f obsessional scale, the author conducted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translation suitable to the Korean situation o f the Modified
Leyton Obsessional Inventory.
Thirty-four persons diagnosed as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O CD ) by means of
DSM-III-R were designated as the pati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261 medical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 the correlational coefficient of the total scores
in the test-retest realiability was a relatively high of 0.85(p<0.001) ; in Cronbach’s a, both
showed a high internal consistency with 0.9432 for the patient group and 0.9429 for the co ntrol;
in the test of the reliability using the half-split method, the reliability conefficients by even
and odd num bers showed high corelations o f 0.90 and 0.84 respectively - all thes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pati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 score, in the com parison
of the total scores between the patient group, 97.62± 35.75,and the control, 50.07± 24.71(p<0.05).
In the distribution of frequencies in the total scores, 70 above accounted for 66.5% in the
patient group and 19.5% in the control,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ores and total scores of each scale of M.M.P.I.,both the patient and the control groups
showed high corelation in ‘P t’ and ‘Sc’ items. Both groups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
corelation in ‘Si’ • ‘M a’ • ‘P a’ • ‘H s’ items. As a reslut of factor analysis by the Varimax
rotation, 9 factors were extracted. The 9 factors accounted for 64.0% of common variance
explained and Factor I (obsession) takes up 32.5 %.
In further studies, more variegated groups and patient groups should be taken as the subjects
of study for a sustained study on fixing the cutoff level to differentiate OCD and standardization
as against the norm al group of people. It is also recommended that studies on the validity
together with various scales to diagnose more correct OCD should be carried out
목차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요 약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lozapine이 흰쥐의 血液과 骨髓 및 肝組織에 미치는 影響
- 80년대 신경정신의학에 발표된 논문의 진단 체계의 관한 연구
- Lithium이 人體의 내분비기능에 미치는 영향
- 만성 정신분열증환자의 보체성분 C4A 그리고 C4B의 이인자형 빈도에 관한 연구
- 어느 精神科醫師가 꾼 다섯 개의 꿈
- 외상성 두부 손상 환자의 정량화 뇌파 : 핵자기공명영상과 단일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촬영과의 비교
- 元曉의 心性論에 관한 分析心理學的 研究
- 내과 입원환자에서의 우울증상의 양상에 대한 연구
- 韓國版 强迫尺度의 開發을 위한 豫備研究 — Modified Leyton Obsessional Inventory의 信賴度 및 妥當度 檢證 一
- 정신분열증환자의 혈청 NK 세포활성도에 관한 연구
- 노인 기능 상태 평가의 신뢰도
- Lithium 및 Carbamazepine 이 Apomorphine으로 유도된 일측 흑질체 파괴 백서의 회전운동에 미치는 영향
- Fluoxetine 약물치료를 받은 강박장애환자에서 세로토닌 효현제인 MK-212투여에 따른 체온 및 Prolactin 반응의 강화
- 주정중독환자 가족의 스트레스 지각 및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 주정중독 환자 자녀들의 성격특성
- 국군O O 병원 정신과 입원환자의 추적조사
-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Sertraline의 병합투여가 혈장 Haloperidol 농도에 미치는 효과
-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항정신병 약물의 병용제로서 투여한 Glycine의 임상적 효과에 관한 연구
- 어머니를 구타한 정신과 환자
- 우울증 환자에서 Acute Phase Plasma Proteins 농도 변화에 대한 예비 연구
- Haloperidol, Amitriptyline 및 Lithium이 인간조직적합성항원(HLA) 형의 결정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기의 물질남용에 관한 예비적 연구
- 양극성 우울증 및 정신분열병환자의 혈청 Tryptophan 능도에 관한 연구
- 노망에 대한 태도조사 ㅡ 일반인을 대상으로 ᅳ
- 精神分裂病 患者의 눈의 追跡運動異常: 4 個月後의 追跡研究
- Clozapine 치료에 따른 일과성 야뇨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