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 이론 수업의 인지적 학습 접근법
이용수 95
- 영문명
- Teaching Strategies for Music Theory Classes ( Harmony , Ear Training and Sight Singing , and Music Analysis ) based on the Cognitive Domain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장근주(Gun Joo Jang)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17권 제0호, 297~31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n ultimate objective in an educative process is preparing an individual for the moment that he/she can go on his/her own way.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is not only to develop music literacy and music intelligent, but also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The development of musical thinking skills can be gained through the higher order of thinking processes of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which are upper levels of the cognitive development. The teaching stratiegies for harmony, ear traning and sight singing, and music analysis were designed based on comprehensive musicianship and the B1oom`s cognitive domain. Music courses should not be taught in isolation and fragmented fashion. All courses should be designed to complement and support each other to avoid unnecessay encroachment and duplication. Intradepartmental dialogue and perhaps adiministrative help may be needed to achieve an appropriate curricular balance. Instructional material must be presented in sequences that are intergrated and well structured to allow students to build upon previously acquired concept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music program is to offer a balance and variety of music expericence. In this aspect, all of music classes should be interrelated and implemented to performance. Music theory classes are often separated from performance by classifying either as performing or as theory classes. All students in different major should also learn music theory including harmony, and form and analysis to understand fundamentals of music. The fundamental knowledge of musical form and of the structural elements is essential for a comprehension of the subject. Music theory classes should involve performance while a performance class should include analysis of music being performed. In this aspect music education can focus on the overall objectives of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초등학교 4 학년부터 중학교 3 학년까지의 학생을 위한 한국음악적성검사의 타당도 연구
- 바이마르 공화국 ( Weinmarer Republik ) 이후 독일 음악교육의 발전
- 슈타이너의 교육이념에 의한 발도르프 ( Waldorf ) 학교의 음악교육
- 현대음악 작품의 교재화 방안
- 리듬반응과 음악적 리듬지각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 고찰을 위한 관계문헌 조사연구
- 20 세기 후반 음악 교육의 관심사 발전
- 음악 이론 수업의 인지적 학습 접근법
- 음악학과 음악교육학
- 시청각자료를 이용한 초등학교 국악감상지도
- 시각 자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 지도
- 한국과 미국의 중학교 음악과 교과서의 비교 연구
- 초등음악수업에서의 창작 포트폴리오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