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대음악 작품의 교재화 방안
이용수 12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이홍수(Hong Soo Lee)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17권 제0호,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recent music curricular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ere developed especially emphasizing the ideas of the conceptual approach and aesthetic music education. There is much interest in those approaches combined with the need to develop instructional guidelines and materials focused on diverse musical aspects including traditional Korean music idioms. However, still the lack of diverse resources materials appropriate for grade schools use is one of the significant problems. In school music teaching programs, generally the improvement of musical abilities are sought through limited time and resources. In the music classes, to improve musical abilities students sing, play instruments. improvise, compose, and listen to music in analysing and synthesizing. Especially the process of analysing and synthesizing in music listening heightens students` appreciation of musical pieces. In the listening classes, they mainly consider which pitches, durations, harmonies, and tone colors are present and how they are organized in certain modes or scales. The aesthetic experience of music, however, requires more than simply an objective recognition of its constituent parts and musical activities. They have to investigate the effects created by the elements and the ways in which they interact upon each other. For doing that they need the musical pieces with diverse musical aspects culturally and stylistically. In the world there are numerous musical works made between the old time and these days and in many different areas. Therefore, we need to select the most efflcint resource materials in a educational sense among those musical works. To put it briefly, the music classes should provide musical pieces suitable for diverse experiences to do in students` limited time as intensively as they can do. If we make a success of selecting musical works with diverse musical aspects in terms of cultures and styles, especially from contemporary music, the works will actively bridge the old and contemporary musics and traditional and new styles. On the other hand, if those musical works are provided for students in oder to grow their aural awareness in listening classes and in oder to use such diverse aspects for their composition, they will help the students achieve the improvement of musical abilities, as well as provide themselves with diverse musical experiences. Aural awareness for musical sounds can grow through various musical activities. Therefore, we have to try to select contemporary music with diverse musical aspects culturally and stylistically suitable for school music program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초등학교 4 학년부터 중학교 3 학년까지의 학생을 위한 한국음악적성검사의 타당도 연구
- 바이마르 공화국 ( Weinmarer Republik ) 이후 독일 음악교육의 발전
- 슈타이너의 교육이념에 의한 발도르프 ( Waldorf ) 학교의 음악교육
- 현대음악 작품의 교재화 방안
- 리듬반응과 음악적 리듬지각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 고찰을 위한 관계문헌 조사연구
- 20 세기 후반 음악 교육의 관심사 발전
- 음악 이론 수업의 인지적 학습 접근법
- 음악학과 음악교육학
- 시청각자료를 이용한 초등학교 국악감상지도
- 시각 자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 지도
- 한국과 미국의 중학교 음악과 교과서의 비교 연구
- 초등음악수업에서의 창작 포트폴리오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