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 자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 지도
이용수 46
- 영문명
- Music Instruction through Visual Materials for Elementary General Music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임미경(Mi Kyung Rim)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17권 제0호, 119~13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usic reading by a 5-line staff is difficult to everybody because the notes of the staff are a kind of musical symbol. If the notes are represented by the figures of the melodic line, it will be easy to understand how music flaws. However, the 5-line staff generally presents music scores in the lower grades` textbooks. Thus, the development of the iconic scores for the youngster` songs is urgently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ir music reading skills. Since the themes of the listening examples in the elementary music textbooks are always showed on the music score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those lessons are very limited, various kinds of visual materials for the listening sessions are also needed. This paper introduces several kinds of iconic scores for the youngster`s song and listening examples. It also demonstrates how to make and use them in the singing and listening sessions. Actual lession plans with the iconic scores for each session are presented. Illustrated iconic scores for the song can be divided into 3 groups : 1) melodic line drawing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song ; 2) melodic line drawing with the circle or the half circle ; and 3) melodic line drawing with the bar. The methode of drawing on the bar score are summarized into 5 ways : 1) by a word of the song ; 2) by one measure ; 4) by 2 or 4 measures ; and 5) by the image of the song ; 2) by one beat ; 3) by one measure ; 4) by 2 or 4 measures ; and 5) by the image of the sang. The illustrated iconic scores far the listening examples include theme charts, bar charts, call charts, and listening maps.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visual materials for the elementary music instruction is needed and more iconic scores should be included in the 7^(th) revision of elementary music textbook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초등학교 4 학년부터 중학교 3 학년까지의 학생을 위한 한국음악적성검사의 타당도 연구
- 바이마르 공화국 ( Weinmarer Republik ) 이후 독일 음악교육의 발전
- 슈타이너의 교육이념에 의한 발도르프 ( Waldorf ) 학교의 음악교육
- 현대음악 작품의 교재화 방안
- 리듬반응과 음악적 리듬지각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 고찰을 위한 관계문헌 조사연구
- 20 세기 후반 음악 교육의 관심사 발전
- 음악 이론 수업의 인지적 학습 접근법
- 음악학과 음악교육학
- 시청각자료를 이용한 초등학교 국악감상지도
- 시각 자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 지도
- 한국과 미국의 중학교 음악과 교과서의 비교 연구
- 초등음악수업에서의 창작 포트폴리오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