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 세기 후반 음악 교육의 관심사 발전
이용수 30
- 영문명
- The Evolution of Educational Concerns in School Music : A Survey of Major Curricular Implementation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김용희(Yong Hee Kim)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17권 제0호, 219~24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definitions of knowledge as well as knowledge acquisition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changing views of the human mind offered by psychologists and philosophers in the twentieth century. In the 1960s members in music profession sought to identify what was to be taught and what was to be included in the contents of music education. These concerns reflected the influences of the behavioral psychologists, including Thorndike, Hull, Osgood and Skinner. The examples of this pursuit were shown through Yale Seminar, Juilliard Repertory Project, and early concerns of Contemporary Music Project. The curricular implementation of San Diego Project, one of pilot projects conducted under the auspices of Contemporary Music Project, is illustrated in this research. In the 1970s music educators endeavored to clarify how students exhibit their understanding of music through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Musicianship (CM). This view was influenced by the cognitive psychologists. In CM this how was to translate into such basic musical activities as performing, analyzing and creating. One example of CM class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demonstrated here. Gardner`s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schemata theory advocated by some of cognitive psychologists have had great influence on the concerns and practices of music education since the 1980s. Especially Gardner`s theory provided such an impetus to re-think about the traditional assessment practices as producing an alternative mode of assessment which is based on mastery-standards and process-oriented. An example of the alternative assessment experienced by Gardner through Arts Propel project is presented in this study. Also the schemata theory has influenced music educators to focus on high level thinking such as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and meta cognition. A lesson plan designed to enhance these kinds of high level think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demonstrated here. All of these cognitive psychologists since the 1980s has agreed that music is specific area of knowledge, valuing it as the unique contribution to human learning and life. With the advent of cognitive psychology, more and more psychologists and music education scholars are compiling a body of scientific literature that support this clai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초등학교 4 학년부터 중학교 3 학년까지의 학생을 위한 한국음악적성검사의 타당도 연구
- 바이마르 공화국 ( Weinmarer Republik ) 이후 독일 음악교육의 발전
- 슈타이너의 교육이념에 의한 발도르프 ( Waldorf ) 학교의 음악교육
- 현대음악 작품의 교재화 방안
- 리듬반응과 음악적 리듬지각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 고찰을 위한 관계문헌 조사연구
- 20 세기 후반 음악 교육의 관심사 발전
- 음악 이론 수업의 인지적 학습 접근법
- 음악학과 음악교육학
- 시청각자료를 이용한 초등학교 국악감상지도
- 시각 자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 지도
- 한국과 미국의 중학교 음악과 교과서의 비교 연구
- 초등음악수업에서의 창작 포트폴리오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