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청각자료를 이용한 초등학교 국악감상지도
이용수 27
- 영문명
-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Improving Listening Skill of Korean Traditional Music Using Visual Aids in Elementary School Course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윤명원(Myung Won Youn)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17권 제0호, 265~29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instructional model in order to effectively teach listening skill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xisting in Korean music text book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ir third to sixth grade using visual aids. The existing Korean elementary music tent books contain ninteen Korean traditional musics such as . Compared to the previous ones, the text books contain many more Korean traditional musics. Despite of the expansion of the quantity of the musics, however,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llowing such expansion of quantity has not been properly presented. Therefore, interesting visual aids which fit elementary school level have been developed and introduced in this paper. At the same time, the instructional models have been introduced to help the teachers to utilize the visual aids for the effective teaching. From third to sixth grade, two musics have been selected at each grade, totalling eight.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mainly composed of illustrated musical notes. One of the following method has been selected in each illustrations. l. The theme of the music has been illustrated with form of sticks. 2. Drew a picture by getting a hint from the title. 3. The music can be divided into several parts and each parts can be made into a number ticket in order to draw rhythmical movement. 4. A listening map has been drawn to express the whole music. 5. Box shapes or color belts have been used to distinguish oh-sun-bo(staff notation) easily. Following musics have been selected and presented in this paper. 1. Third grade - (composed by Byung-Gi Hwang, Kayagum solo),  2. Fourth grade - ,  3. Fifth grade - ,  4. Sixth grade - ,  The illustrated musical notes presented here can be applied and developed into many different kind of materials by using CD-ROM and ect. The teaching can be more effective if the students can sing the song or play according to the actions in the music or create other musics instead of only listening to the music.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초등학교 4 학년부터 중학교 3 학년까지의 학생을 위한 한국음악적성검사의 타당도 연구
- 바이마르 공화국 ( Weinmarer Republik ) 이후 독일 음악교육의 발전
- 슈타이너의 교육이념에 의한 발도르프 ( Waldorf ) 학교의 음악교육
- 현대음악 작품의 교재화 방안
- 리듬반응과 음악적 리듬지각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 고찰을 위한 관계문헌 조사연구
- 20 세기 후반 음악 교육의 관심사 발전
- 음악 이론 수업의 인지적 학습 접근법
- 음악학과 음악교육학
- 시청각자료를 이용한 초등학교 국악감상지도
- 시각 자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 지도
- 한국과 미국의 중학교 음악과 교과서의 비교 연구
- 초등음악수업에서의 창작 포트폴리오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