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천명(天命)에 대한 조선유학의 주목과 퇴계(退溪) 해석의 철학사적 의의
이용수 425
- 영문명
- Chosun Confucianism's attention to Heavenly Mandate, and the significance of Toegye's interpretation in the history of East Asian philosophy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저자명
- 강경현
- 간행물 정보
- 『퇴계학논집』제20권, 7~3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6세기 조선 학술계의 주요 주제 가운데 하나는 천명(天命)이다. 당시
발표된 ?천명도(天命圖)?의 공통 문제의식은 인간의 선함을 천명 개념과
결부시켜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사유는 비단 이 시기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도덕성의 근거를 천(天)에서 찾고 명령 개념을 통해 양
자 간의 연결을 밝히는 것은 물론 전형적인 유학적 성찰이지만, 그에 대
한 이론적 정교화 작업은 조선유학을 통해 이루어졌다. 퇴계(退溪)는 이
논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자신의 천명 이해에 따라 기존의 ?천명도?
를 수정하고, 그를 통해 천명에 입각한 리(理) 해석을 강조한다. 주자학
이 본격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한 16세기 조선 학계에서 퇴계의 이와 같
은 시도는 당대 학자들은 물론 기존 주자학 해석자들의 천명 이해와의
차별화를 염두에 둔 것이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퇴계가 ?태극도
(太極圖)?와 ?천명도?의 차이점을 부각시킨 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퇴계는 “리와 기(氣)가 신묘하게 응결[理氣妙凝]”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리를 천명이라 설명함으로써 주자학적 인간의 선함, 즉 도덕
성의 근거를 일종의 도덕명령과도 같은 천명에서 찾으면서도, 그 천명은
기와 결합된 상태에서야 비로소 자신의 능력을 드러낸 리임을 분명히 하
였다. 다시 말해 리는 신묘하게 기와 응결된 상태에서 일종의 도덕명령
처럼 이 세계에 개입하는 힘을 발휘한다는 것으로, 이를 통해 퇴계가 기
와의 결합 이전 단계의 리의 의미까지 포괄하는 태극(太極)을 통해 인간
의 도덕성을 해명하기보다는, 천명의 함의를 갖고 있는 “리기묘응(理氣
妙凝)” 상태에서의 리를 통해 인간 도덕성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했음을
읽어낼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이 가능하다면, 퇴계는 태극과 천명의 개념
적 차이에 주목함으로써 도덕에 대한 이론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16세기 조선유학의 천명으로의 관심
3. 천명으로 해석된 퇴계의 리의 의미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선 유학(朝鮮儒學)의 일본 전파 경로에 관한 재론(再論)
- 키에르케고어와 퇴계(退溪)가 본 심병(心病)과 그 극복- ‘순간(Øieblik)’과 ‘경(敬)’을 중심으로 -
- 유종원의 ‘去孝出世 반대’ 의 사상 연구-영주(永州) 서신을 중심으로
- 격치를 통한 율곡 독서방법론의 확장
- 『명심보감』의 행복관
- 양명학의 도통론 연구
- 동서양 공공성 연구와 한국적 공공성 탐구 ─교토포럼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 이덕무의 경릉파 인식과 수용
- 전승 양상에 따른 이정(二程) 철학의 차별성 연구
- 다산(茶山)의 인성교육 연구 - ?가계(家誡)?를 중심으로 -
- 천명(天命)에 대한 조선유학의 주목과 퇴계(退溪) 해석의 철학사적 의의
- 과거 대응 방식을 통해 본 소수서원 교육의 성격 변화
- 퇴계학파(退溪學派)와 율곡학파(栗谷學派)의 『사서석의(四書釋義)』 간행(刊行)과 그 의의
- 『논사록(論思錄)』을 통해 본 고봉(高峰)의 도학정신(道學精神)
- 조선시대 서원향사례 비교연구 - 9대서원 향사의절을 중심으로 -
- 퇴계의 경의 관점에서 바라본 2015 도덕과 교육과정의 ‘도덕함’: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NEW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중등 수업 사례
- 프랑스 철학교육사 속 어린이철학과 그 함의: 우리 어린이철학교육의 지향을 모색하며
- 그림책 철학수업에서 구현 가능한 미적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