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과거 대응 방식을 통해 본 소수서원 교육의 성격 변화

이용수  173

영문명
A Study on the Change of Educational Characteristics in Sosu-Seowon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저자명
김자운
간행물 정보
『퇴계학논집』제20권, 289~31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유학에서 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지식과 덕성의 결합을 통해 일상에서 올바른 관계를 실현’하는 데 있었다. 그런데 과거시험에서는 개인의 덕 성은 시험할 수 없었으므로, ‘덕성’이 아닌 ‘문장’을 시험하는 데 그칠 수 밖에 없었다. 그 결과 과거공부는 자칫 덕성의 함양과 실천은 도외시한 채 문장에만 치중하여 지식과 덕성이 괴리될 우려를 안고 있었다. 여기 에 조선시대 서원교육이 당면한 딜레마가 있었다. 그러나 대다수가 과거 에 응시할 유생들이라는 서원의 현실을 마냥 외면할 수도 없었기에, 과 거에 대한 현실적 요청과 과거로 인한 교육적 폐해 사이에서 서원교육은 과거에 대해 한편으로는 비판하고 한편으로는 용인하는 이중적인 양상과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서원교육에서 과거를 위한 공부와 도학을 위한 공부는 실제 로 어떻게 달랐을까? 그리고 서원교육에서 과거공부가 야기한 폐해는 구 체적으로 어떤 양상으로 드러났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택한 해법은 무 엇이었을까? 또 시기에 따라 과거에 대한 서원의 대응방식은 어떻게 달 라졌으며, 이는 조선시대 서원교육의 성격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 까? 이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조선시대 서원의 과거 대응 방식과 그에 따른 교육의 성격 변화를 소수서원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과업’의 명소가 된 16세기 소수서원
3. 17세기 과업에 대한 비판과 ‘파격’ 논쟁
4. 18세기 도학서원으로의 정착과 교육과정의 변화
5. 19세기, 시험을 통해 시험의 폐해를 가르치다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자운. (2017).과거 대응 방식을 통해 본 소수서원 교육의 성격 변화. 퇴계학논집, 20 , 289-319

MLA

김자운. "과거 대응 방식을 통해 본 소수서원 교육의 성격 변화." 퇴계학논집, 20.(2017): 289-3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