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거 대응 방식을 통해 본 소수서원 교육의 성격 변화
이용수 173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nge of Educational Characteristics in Sosu-Seowon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저자명
- 김자운
- 간행물 정보
- 『퇴계학논집』제20권, 289~31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학에서 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지식과 덕성의 결합을 통해 일상에서
올바른 관계를 실현’하는 데 있었다. 그런데 과거시험에서는 개인의 덕
성은 시험할 수 없었으므로, ‘덕성’이 아닌 ‘문장’을 시험하는 데 그칠 수
밖에 없었다. 그 결과 과거공부는 자칫 덕성의 함양과 실천은 도외시한
채 문장에만 치중하여 지식과 덕성이 괴리될 우려를 안고 있었다. 여기
에 조선시대 서원교육이 당면한 딜레마가 있었다. 그러나 대다수가 과거
에 응시할 유생들이라는 서원의 현실을 마냥 외면할 수도 없었기에, 과
거에 대한 현실적 요청과 과거로 인한 교육적 폐해 사이에서 서원교육은
과거에 대해 한편으로는 비판하고 한편으로는 용인하는 이중적인 양상과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서원교육에서 과거를 위한 공부와 도학을 위한 공부는 실제
로 어떻게 달랐을까? 그리고 서원교육에서 과거공부가 야기한 폐해는 구
체적으로 어떤 양상으로 드러났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택한 해법은 무
엇이었을까? 또 시기에 따라 과거에 대한 서원의 대응방식은 어떻게 달
라졌으며, 이는 조선시대 서원교육의 성격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
까? 이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조선시대 서원의 과거
대응 방식과 그에 따른 교육의 성격 변화를 소수서원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과업’의 명소가 된 16세기 소수서원
3. 17세기 과업에 대한 비판과 ‘파격’ 논쟁
4. 18세기 도학서원으로의 정착과 교육과정의 변화
5. 19세기, 시험을 통해 시험의 폐해를 가르치다
6.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선 유학(朝鮮儒學)의 일본 전파 경로에 관한 재론(再論)
- 키에르케고어와 퇴계(退溪)가 본 심병(心病)과 그 극복- ‘순간(Øieblik)’과 ‘경(敬)’을 중심으로 -
- 유종원의 ‘去孝出世 반대’ 의 사상 연구-영주(永州) 서신을 중심으로
- 격치를 통한 율곡 독서방법론의 확장
- 『명심보감』의 행복관
- 양명학의 도통론 연구
- 동서양 공공성 연구와 한국적 공공성 탐구 ─교토포럼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 이덕무의 경릉파 인식과 수용
- 전승 양상에 따른 이정(二程) 철학의 차별성 연구
- 다산(茶山)의 인성교육 연구 - ?가계(家誡)?를 중심으로 -
- 천명(天命)에 대한 조선유학의 주목과 퇴계(退溪) 해석의 철학사적 의의
- 과거 대응 방식을 통해 본 소수서원 교육의 성격 변화
- 퇴계학파(退溪學派)와 율곡학파(栗谷學派)의 『사서석의(四書釋義)』 간행(刊行)과 그 의의
- 『논사록(論思錄)』을 통해 본 고봉(高峰)의 도학정신(道學精神)
- 조선시대 서원향사례 비교연구 - 9대서원 향사의절을 중심으로 -
- 퇴계의 경의 관점에서 바라본 2015 도덕과 교육과정의 ‘도덕함’: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NEW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중등 수업 사례
- 프랑스 철학교육사 속 어린이철학과 그 함의: 우리 어린이철학교육의 지향을 모색하며
- 그림책 철학수업에서 구현 가능한 미적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