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승 양상에 따른 이정(二程) 철학의 차별성 연구

이용수  98

영문명
The study on differentiation of two Ch'engs philosophy through transmission aspect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저자명
박승원
간행물 정보
『퇴계학논집』제20권, 407~408쪽, 전체 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호(程顥)와 정이(程?)의 철학이 전승되는 과정에서 드러 내는 차별성을 규명하고자 했으며, 그에 따라 철학사 안에서 두 사람의 철학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무엇 보다 정호와 정이를 하나의 철학으로 묶으려고 하는 기존의 관점에서 벗 어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정호와 정이는 천리(天理)의 체인(體認)을 통 해 자연과 하나가 되는 인간, 즉 성인(聖人)됨을 학문의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학문적 목표의 동일성과 다른 학문들에 대한 태도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둘 사이의 차별성이 존재하게 된 것은 정호의 이른 죽음이었다 고 할 수 있다. 정호의 생전에 자기 목소리를 내지 못했던 정이는 정호 의 사후 20년 간 자신의 철학을 전개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특 히 천지와 선악을 바라보는 정호와 정이의 관점은 분명히 차별성을 가지 고 있었다. 맹자의 성선 개념을 보다 충실히 계승한 정이에 비해 정호는 공자로 거슬러 올라가는 유학의 무위자연적 측면을 고려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정호와 정이의 철학적 차별성이 후대의 유학의 분기의 단초 가 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천리를 자신의 철학의 중심으로 삼은 점에 서 두 사람은 리학(理學)으로 묶을 수 있다. 그러나 후대의 학자들에 의 해 정호는 자기 내면에서 천리를 체인함을 강조하고, 정이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외부 사물에 대한 탐구를 통해 천리를 인식하는 것을 중시 했다는 의미에서 리학과 심학(心學)으로 구분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들 이 차별화될 수 있었던 것은 천지자연과 선악(善惡)에 대한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세상을 하나의 완전한 것으로 바라보고자 했던 정호에 비해 정이는 세상을 선과 악의 이원적 구조로 파악하고 악이 선에 의해 제압 되는 보다 완전한 세상을 꿈꾸었다. 다시 말해 인간의 본성을 하나의 천 리로 만들어 모든 세상을 도덕적으로 탈바꿈시키려는 것이었다. 정이의 구상은 후대의 심학(心學) 계열의 현대 철학자들에게 공격받았 다. 그들은 정이와 주희를 하나의 계열로 묶으면서 유학 내의 정통이 아 닌 특수한 계열로 보았으며, 정호에 비해 그 철학적 경지가 낮다고 평가 하였다. 주희가 정이의 철학을 중심으로 삼았던 것은 분명하나 정호를 철저히 배제한 것은 아니었다. ‘성리학’이라는 주희의 원대한 구상 속에 서 북송오자의 학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이정 철학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
3. 이정 철학의 지향점
4. 만물일체(萬物一體)와 인(仁)
5. 천리(天理)와 선악(善惡)
5. 나오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승원. (2017).전승 양상에 따른 이정(二程) 철학의 차별성 연구. 퇴계학논집, 20 , 407-408

MLA

박승원. "전승 양상에 따른 이정(二程) 철학의 차별성 연구." 퇴계학논집, 20.(2017): 407-4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