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과학 교과에 적용되는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이용수  80

영문명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저자명
홍혜정 윤회정 우애자
간행물 정보
『교과교육학연구』제16권 제4호, 887~90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0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미래 사회의 핵심 키워드로 제시한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창의⋅인성 교육 방법, 평가 방법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의 견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으로 현재 전국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 138명을 선정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사들의 78.3%가 창의⋅인성 교육의 중요성은 인정하였으나 그 취지를 정확히 알고 있다고 응답한 교사들은 25.4%로 매우 낮았 으며 현장 적용 실태에 대해서도 48.6%의 교사들이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둘째, 과학 교사들 은 교과 과정으로 명확히 제시되는 창의⋅인성 교육을 선호했는데, 창의⋅인성 교육 방법으로 협동 학습을 강조한 조별 활동(57.2%), 창의⋅인성 교육 내용으로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관련 문제 해결(52.2%),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으로 창의적 체험 활동(54.3%)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창의⋅인성 교육 방법이 제시된다면 55.8%의 교사들이 이를 활용할 의사가 있다는 의견 을 나타냈지만, 창의⋅인성 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창의성 지도 및 교 사의 역할 모델 제공,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충분한 수업시간과 업무 축소가 필요하다고 응답했 다. 셋째, 과학 교사들의 41.3%가 수행평가 항목에 정의적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창의⋅인성 교육 을 평가하는데 가장 적합하다고 응답하였으며, 31.2%의 교사가 창의⋅인성 교육 평가가 제대로 이 루어지기 위해서 교사의 자율성 존중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넷째, 창의⋅인성 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충분히 교과에 대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여건이 조성되어야 하며, 교사 연수 확대와 지원체제 마련, 학급당 학생 수 및 교사 일인당 수업시수의 감축, 창의⋅인 성 교육에 대한 교사, 학부모 및 학생의 마인드 변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II. 연구내용 및 방법
III. 연구결과 및 논의
I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혜정,윤회정,우애자. (2012).과학 교과에 적용되는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6 (4), 887-908

MLA

홍혜정,윤회정,우애자. "과학 교과에 적용되는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6.4(2012): 887-9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