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認知 心理學의 學習 및 學習者觀이 교육평가에 주는 示唆
이용수 58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白淳根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33권 제3호, 131~15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5.01.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최근 인지 심리학의 학습 및 학습자관이 교육평가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검토해 본 것이다. 인지 심리학의 학습자관은 構成說과 初步-專門家 模型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학습이란 학습자의 認知構造의 계속적인 변화를 의미하고, 이 변화에는 양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질적인 변화도 포함한다. 이러한 학습 및 학습자관에 의해 교육평가에 있어서 학습의 결과를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개별 학생의 학습의 과정이나 문제해결의 과정을 파악하는 것이 강조되고, 교수-학습 목표와 평가 내용을 보다 직접적으로 관련시키는 수행검사가 강조된다거나, 학생의 인지구조를 진단하고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평가 기법들의 개발은 물론 검사나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전략들이 시도되고 있다.
영문 초록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학습 및 학습자관의 비교
Ⅲ. 교육평가에 주는 시사점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學習戰略과 上位認知와의 關係 分析 硏究
- John Dewey의 善 硏究
- 儒學的 道德敎育論에 대한 비판의 정당성 검토
- 인지사회적 관점에 의한 인간행동과 교육의 새로운 이해
- CAI를 이용한 개별화 수업 시스템의 설계를 위한 원리의 구안
- 담화분석 기법을 활용한 상담과정의 분석
- 認知 心理學의 學習 및 學習者觀이 교육평가에 주는 示唆
- 국민학교 아동의 수 표상 기준에 관한 연구
- 코스웨어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상담방식과 전통문화에의 태도가 교사의 상담자 효율성 지각에 미치는 효과
- 도덕적 결정에서 우위 영역의 역할과 실용성과의 관계
- 가정과 직장, 조화된 양립은 불가능한가?
- 학습전략훈련이 학습장애자의 수학 학업성취, 자기조정, 충동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교육과정 내에서 교과들간의 갈등관계 분석
- 학교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수정의 논리와 문제점
- 교수설계이론을 위한 대안적 연구방법론의 탐색
- 교사교육의 연구동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Speech Perception in Individuals with Normal Hearing and Hearing Loss: A Multimodal fNIRS study
- Analysis of Students' Eye Movement and Understanding Based on the Presentation Methods of Visual Models for Addition and Subtraction Algorithms
- Potential Biomarkers in Serum for Ischemic Strok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