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치료사의 성악심리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21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문지영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12권 제3호, 185~20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1.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악심리치료를 경험한 음악치료사와 음악치료 인턴의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성악심리치료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도출해내어 심리치료 방법으로서 성악심리치료의 효과
를 제고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음악치료사와 음악치료 인턴 일곱 명을 심
층 면담하여 성악심리치료 경험에 대한 내용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지오르지
(Giorgi, 2009)의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의미단위를 추출해 내어 구성
요소들을 도출하였고 성악심리치료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찾기 위해 변형된 의미단위들을
구조로 통합하였다. 분석 결과 132개의 의미단위가 추출되었고, 28개의 하위 범주(하위 구
성요소)와 5개의 범주(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5개의 범주(구성요소)는
‘다양한 감정 유발’, ‘자신을 발견하고 성찰하는 의미 있는 경험’, ‘비언어적인 도구로서 목소
리의 치료적인 힘’, ‘개인적 성장’, ‘전문가적 성장’으로 나타났다. 성악심리치료의 경험은 심
리적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하고 자유로움과 해방감을 강화시키는 도구로 사용되어 치료
에서 오는 저항을 줄여 치료 과정으로의 안내를 돕는 지지적인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클라이언트에게 의미있는 경험을 제공해야 하는 음악치료사에게 이러한 성악심리치료의 경
험은 개인적인 성장 뿐 아니라 전문가적 성장을 위해 꼭 필요한 경험이라고 할 수 있겠다.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잡지그림 콜라주 미술치료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 치료적 노래 만들기가 고등학교 특수학급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집단 창작 중심 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예술심리상담사의 정서지능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 마음챙김 음악감상(mindful music listening)이 직장인의 지각된 스트레스, 마음챙김 수준, 삶의 질, 정서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 음악치료사의 성악심리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PTSD 관련 국내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 사이버 상담을 이용한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신경성 폭식증을 겪는 여성의 신념과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청소년의 자기표현, 자기효능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 디지털 이미지의 매체 특징과 그 치유적 함의에 대한 논의
- 음악활동이 다문화 가정 아동의 자아개념 변화 및 우울감소에 미치는 영향
- 음악치료사의 바우처 서비스로 제공된 아동 음악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PMAT)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여대생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