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TSD 관련 국내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1,42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김도희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12권 제3호, 227~25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1.0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PTSD와 관련된 국내 미술치료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와 치료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학술정보 DB를 통해 수집된 논문
46편을 대상으로 자료경향, 표본특성, 연구방법, 미술치료 방법, 치료형태에 따라 문헌분석
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는 PTSD 관련 미술치료 연구가
2005년 이후로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단일사례연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본특성은 아동, 청소년 및 여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외상유형은 성폭력과 복합외상
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제 PTSD로 진단받은 경우는 소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은 사전 사후 점수비교와 회기관찰을 수행한 단일사례연구설계가 가장 많았고 연
구도구는 BDI, KFD, K-HTP 순으로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양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미술치료 방법들이 활용되었으며, 미술치료가 PTSD의 특징적 증상인
스트레스 반응 외에도 다양한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치료목표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단계적 목표와 치료활동들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치료형태는 주로 치료실 환경에서 의뢰를 통해 수행된 것으로 주
1회, 60분의 총 12회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기 수에는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
타났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잡지그림 콜라주 미술치료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 치료적 노래 만들기가 고등학교 특수학급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집단 창작 중심 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예술심리상담사의 정서지능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 마음챙김 음악감상(mindful music listening)이 직장인의 지각된 스트레스, 마음챙김 수준, 삶의 질, 정서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 음악치료사의 성악심리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PTSD 관련 국내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 사이버 상담을 이용한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신경성 폭식증을 겪는 여성의 신념과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청소년의 자기표현, 자기효능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 디지털 이미지의 매체 특징과 그 치유적 함의에 대한 논의
- 음악활동이 다문화 가정 아동의 자아개념 변화 및 우울감소에 미치는 영향
- 음악치료사의 바우처 서비스로 제공된 아동 음악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PMAT)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여대생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