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42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임은실 장선철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12권 제3호, 281~30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1.0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잦은 결석과 대인관계 어려움, 낮
은 수업 참여 태도 등을 보이는 학교부적응 청소년 21명으로,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1
명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동질성 검사를 위해 t-test 분석을 실시하고 사전, 사후,
추후 검사 시기에 따른 Repeated Measures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
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향상에 효과적
이었고, 그 효과가 프로그램 실시 후에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
로그램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력 향상에 효과적이었고, 그 효과가 프로그램
실시 후에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력을 향상시키는데 영향력이 있음이 검증되
었다. 이 결과는 학교생활과 일상생활에서 있는 부적응과 어려움에 처한 청소년들의 학교생
활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부모, 교사, 또래의 상호 간 사회적 지지를 증진시키는 것
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잡지그림 콜라주 미술치료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 치료적 노래 만들기가 고등학교 특수학급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집단 창작 중심 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예술심리상담사의 정서지능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 마음챙김 음악감상(mindful music listening)이 직장인의 지각된 스트레스, 마음챙김 수준, 삶의 질, 정서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 음악치료사의 성악심리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PTSD 관련 국내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 사이버 상담을 이용한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신경성 폭식증을 겪는 여성의 신념과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청소년의 자기표현, 자기효능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 디지털 이미지의 매체 특징과 그 치유적 함의에 대한 논의
- 음악활동이 다문화 가정 아동의 자아개념 변화 및 우울감소에 미치는 영향
- 음악치료사의 바우처 서비스로 제공된 아동 음악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PMAT)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여대생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