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녹차의 생산지와 제다방법에 따른 주요 성분의 특성

이용수  0

영문명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Components of Green Teas from Different Regions and Manufacturing Methods
발행기관
한국차학회
저자명
오은의(Eun Ui Oh) 오산수민(San Su Min Oh) 송관정(Kwan Jung Song)
간행물 정보
『한국차학회지』제31권 제3호, 95~105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녹차와 중국, 일본, 스리랑카, 베트남에서 생산되고 있는 녹차에 대해 주요 성분들의 함량을 분석하여, 이들 성분들 간의 상관을 비교하여 생산지와 제다 방식에 따라 구분 가능성을 확인하고녹차 품질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엽록소 함량은 덖음보다 증제 녹차에서 높은경향을 보였다. 이는 엽록소 b보다 엽록소 a의 영향이 컸다. 카로티노이드의 함량은 증제보다 덖음 녹차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녹차의 테아플라빈과 테아루비긴은 극소량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총폴리페놀, 총아미노산및 카페인 함량은 기존 알려진 범위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제다방식과 지역간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비타민 C 함량은 덖음보다는 증제 녹차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지역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총카테킨 함량은 덖음보다 증제 녹차에서 높은 편이었다. 다양한 카테킨 비율로 나타나는 품질 지수(QI) 및 galloyl/degalloyl (G/DG) 비율은 덖음보다 증제 녹차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주성분 분석으로 생산지 및 제다방법에 따른 분류가가능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차 성분의 분석을 통해 품질은 물론 제다방식에 따른 위조, 열처리 및 산화도등도 평가할 수 있는 활용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major components of green tea produced in Korea, China, Japan, Sri Lanka, and Vietnam, and compar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omponents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ing between production sites and processing methods, and to utilize thi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quality of green tea. The total chlorophyll content tended to be higher in steamed green teas than in pan-fired green teas. This was due to the greater influence of chlorophyll ‘a’ compared to chlorophyll ‘b’. The carotenoid content tended to be higher in pan-fried green teas than in steamed green teas. Theaflavin and thearubigin were present in the green teas at very low levels. The ranges of total polyphenol, total amino acid, and caffeine contents were similar to those previously known, but did not exhibit a consistent tendency either by manufacturing method or region of production. Vitamin C content tended to be higher in steamed green teas than in roasted green tea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y region. The total catechin content was higher in steamed green teas than in roasted green teas. The quality index (QI) and galloyl/degalloyl (G/DG) ratio, which are expressed as various catechin ratios, tended to be higher in the steamed green teas than in the roasted green tea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enabled the classification of the green teas according to their region of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nalysis of various tea components could be utilized to evaluate not only quality but also withering, fixation, and oxidation, depending on the tea production method.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은의(Eun Ui Oh),오산수민(San Su Min Oh),송관정(Kwan Jung Song). (2025).녹차의 생산지와 제다방법에 따른 주요 성분의 특성. 한국차학회지, 31 (3), 95-105

MLA

오은의(Eun Ui Oh),오산수민(San Su Min Oh),송관정(Kwan Jung Song). "녹차의 생산지와 제다방법에 따른 주요 성분의 특성." 한국차학회지, 31.3(2025): 95-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