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차문화와 다식(茶食)의 변천에 대한 문헌적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Literature Study on the Change of Tea Culture and Tea Food
발행기관
한국차학회
저자명
정미영(Mi-Young Jeoung) 김대영(Dae-You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차학회지』제31권 제3호, 32~43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동아시아 차문화사 속에서 다식(茶食)의 개념과 변천 과정을 문헌적 고찰을 통해 규명한 것이다. 다식은 차를 이용한 음식 전반을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과, 차의 독자성이 확립된 후 차를 위한 보조 음식이라는 협의의 개념으로 나눌 수 있다. 차의 이용이 약용과 식용에서 음용과 기호적 대상으로 발전함에 따라, 다식역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의미와 형태로 전개되었다. 선진시대에는 차=음식의 단계가 존재했으며, 위진남북조를 거쳐 음용으로 정착하면서 협의의 다식이 형성되었다. 당대에는 선종 사찰과 육우의 청음법 영향으로검박한 다과가 발달하였고, 송대에는 상업화와 점다법 정착으로 풍성한 다식이 성행하였다. 원대에는 북방 유목민의 문화가 융합되어 다민족적 색채가 강해졌으며, 명대에는 단차 폐지와 포다법 정착으로 청음법과 조음법이 공존하는 다식의 이중 구조가 나타났다. 청대에는 차문화의 세속화를 바탕한 차관의 발달과 대중화로 다식이 다양화되었다. 이와 같은 변천은 다식이 단순한 곁들임 음식을 넘어, 각 시대의 사회·문화적 성격을 반영하는 중요한 문화 요소임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tea food in East Asian tea culture through a literature-based approach. The term “tea food” has broad and narrow meanings. Broadly, it includes all foods associated with tea, encompassing dishes prepared with tea. Narrowly, it refers to auxiliary foods served with tea once it gained independent status as a beverage. As tea shifted from medicinal and dietary uses to the object of preference, tea food likewise evolved over time and across regions. In the pre-Qin era, tea was considered a form of food. During the Wei, Jin, and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ea drinking became distinct, and tea confectionery emerged as a narrower concept of tea food. The Tang dynasty, influenced by Zen Buddhism and Lu Yu’s advocacy of pure tea, encouraged simple confections. The Song dynasty, with urban growth and the whisked-tea method, saw the emergence of abundant and refined tea foods. The Yuan dynasty reflected nomadic traditions, producing multi-ethnic variations. In the Ming dynasty, the abolition of compressed tea and the spread of steeping methods created a dual structure of elite and popular practices. The Qing dynasty, with the rise of tea houses, diversified dasik and spread it widely. These transformations show that dasik was not just an accompaniment, but a cultural element that reflected the character each era.

목차

서 론
본 론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미영(Mi-Young Jeoung),김대영(Dae-Young Kim). (2025).차문화와 다식(茶食)의 변천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한국차학회지, 31 (3), 32-43

MLA

정미영(Mi-Young Jeoung),김대영(Dae-Young Kim). "차문화와 다식(茶食)의 변천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한국차학회지, 31.3(2025): 32-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