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Milk Tea Consumption Patterns and Sugar-reduction Strategies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이정현(Jung-Hyun Lee) 최배영(Bae-Young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31권 제3호,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밀크티의 음용 실태를 파악하고 당류 저감화 전략에 대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소셜 빅데이터를 통한 소비자들의 밀크티 음용 양상 탐색, 음료 매장과 유통 시장에서 판매되는 밀크티 상품의 사례조사, 밀크티 레시피 북에 대한 내용분석이 시행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대용량인 음료 매장의 밀크티는 당류의 함량이 높아 저감화 필요성을 강하게 시사하였다. 둘째, 국내에서 가공되는 밀크티 RTD 제품의 저당화는 대체 감미료와 당질에 따라 소화·흡수의 대사 경로, 혈당 조절의 기능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레시피 북에 기술된 밀크티 재료와 조리 방법은 비교적 높은 당류가 함유될 수 있어 홈카페용 레시피 콘텐츠 개발도 당류 저감화의 전략으로 요구됨을 파악하였다. 결론적으로 밀크티의 당류 저감화를 위해서는 산업적으로 음료 매장과 유통 시장의 기업들이 대체 감미료를 이용한 저당 밀크티 상품의 기획과 판매에 보다 심도 있게 노력을 매진해야 하며, 학술적으로 연구자들은 소비자들이 균형 잡힌 건강한 삶의 일환으로 당 저감을 일상에서습관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밀크티 레시피를 개발하고 검증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milk tea consumption patterns to derive implications for sugar-reduction strategies. Three methods were used: social big data analysis of consumer milk tea consumption patterns, case studies of milk tea products sold in beverage outlets and the retail market, and content analysis of milk tea recipe book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ilk tea served in large volumes at beverage outlets had high sugar contents, underscoring the need for reduction. Second, sugar-reduction strategies should consider the digestive and absorptive metabolic pathways and glycemic control functions of alternative sweeteners and carbohydrates for domestically processed ready-to-drink milk tea products. Third, recipe books described milk tea preparations with relatively high sugar contents, highlighting the necessity for developing home café–oriented recipes as part of the sugar-reduction strategies. In conclusion, to promote sugar reduction in milk tea, the industry (beverage outlets and retail market companies) should devote more concerted efforts to plan and commercialize low-sugar milk tea products using alternative sweeteners. Furthermore, from an academic standpoint, researchers should focus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milk tea recipes to help consumers incorporate sugar reduction into their daily routines as part of a balanced and healthy lifestyle.
목차
서 론
본 론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Lactobacillus sakei로 발효한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항염증 개선 효과
- 차테라피 경험을 통한 중년 여성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
- 정서적 안정을 위한 차문화치료 특성을 반영한 티하우스 공간 구성
- 밀크티의 음용 실태와 당류 저감화 전략 연구
- 차문화와 다식(茶食)의 변천에 대한 문헌적 고찰
- 느티나무 잎차와 대용차의 항산화 활성 비교 및 품질 특성
- 생산지 유형 및 제조 방식에 따른 보이차 카테킨 성분 특성 비교 연구
- 복전차의 제조년도별 품질특성 및 미생물 분포연구
- 유자(Citrus junos) 부위별 항산화 활성 및 corticosterone으로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 보호 효과
- 황칠차의 휘발성 향기성분과 항산화 활성
- 녹차의 생산지와 제다방법에 따른 주요 성분의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Lactobacillus sakei로 발효한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항염증 개선 효과
- 차테라피 경험을 통한 중년 여성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
- 정서적 안정을 위한 차문화치료 특성을 반영한 티하우스 공간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