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atory Study on the Changes in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Women through Tea Therapy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이경미(Kyung-Mi Lee) 김영미(Young-Mi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31권 제3호, 11~2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차테라피 프로그램을 경험한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감소 및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를분석하여, 그 효과성과 실질적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주 1회, 총 10회의 차테라피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사전·사후 검사와 심층 면담을 통해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를 유형별로분석하였다. 연구결과, A 유형은 사전 대비 스트레스 수준이 전체 평균과 유사하였고 심리적 안녕감은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프로그램 참여 후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B 유형은 높은 스트레스와 낮은심리적 안녕감을 보였으나, 프로그램 후 두 변수 모두에서 가장 뚜렷하고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다. C 유형은스트레스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나, 심리적 안녕감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차테라피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스트레스 완화와 정서적 안정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차의 기능성과 심리 치료적 접근을 결합하여 중년여성의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and practical applicability of a tea therapy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by analyzing the changes in stress level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articipants took part in a tea therapy program once a week for 10 sessions, and the changes in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p through pre- and post-tests as well as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showed that Group A reported similar stress levels to the overall average and higher-than-average psychological well-being before the program, but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after participation. Group B, which initially experienced high stress and low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the most distinct an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variables. Group C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stress levels but exhibi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psychological well-be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 therapy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stress reduction and the enhancement of emotional stability among middle-aged women. This study also revealed the potential of combining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tea with psychotherapeutic approaches, presenting new possibilities for promoting mental health in this population.
목차
서 론
본 론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Lactobacillus sakei로 발효한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항염증 개선 효과
- 차테라피 경험을 통한 중년 여성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
- 정서적 안정을 위한 차문화치료 특성을 반영한 티하우스 공간 구성
- 밀크티의 음용 실태와 당류 저감화 전략 연구
- 차문화와 다식(茶食)의 변천에 대한 문헌적 고찰
- 느티나무 잎차와 대용차의 항산화 활성 비교 및 품질 특성
- 생산지 유형 및 제조 방식에 따른 보이차 카테킨 성분 특성 비교 연구
- 복전차의 제조년도별 품질특성 및 미생물 분포연구
- 유자(Citrus junos) 부위별 항산화 활성 및 corticosterone으로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 보호 효과
- 황칠차의 휘발성 향기성분과 항산화 활성
- 녹차의 생산지와 제다방법에 따른 주요 성분의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Lactobacillus sakei로 발효한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항염증 개선 효과
- 차테라피 경험을 통한 중년 여성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
- 정서적 안정을 위한 차문화치료 특성을 반영한 티하우스 공간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