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nhancing the Probative Value of Scientific Evidence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지연(Jiyeon Lee) 김형규(Hyungkyu Kim) 유제설(Jeseol Yu)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4권 3호, 295~33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형사재판에서 과학적 증거가 높은 증명력을 갖기 위해 수사 단계에서 충족되어야 할 요건과 제도 개선 방안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NA, 지문, 족적, 체액, 위드마크 공식 등 다양한 과학적 증거물에 대한 최근 판례를 분석하고, 증명력 판단 시 핵심이 되는 동일성, 무결성, 신뢰성의 쟁점을 중심으로 주요 문제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감정 결과의 정밀성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감정자료의 출처 확인, 오염 방지, 과학적 감정 절차 이행 여부 등이 충족되어야 높은 증명력이 인정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과학적 증거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 보강증거의 존재 여부는 해당 증거의 증명력 정도를 판단하는 주요 기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증거의 수집·보관·이송·감정 전 과정에서 절차적 투명성과 기록, 각 증거의 유형별 특성과 증거 수집부터 해석과정에 내재된 위험 요인의 실증적 분석을 통해 수사단계에서 과학적 증거의 실질적인 증명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quirement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necessary for scientific evidence to serve as credible proof in criminal trials. Through an analysis of recent court rulings involving various forms of scientific evidence—including DNA, fingerprints, footprints, bodily fluids, and the Widmark formula—the study identifies key issues related to the legal evaluation of such evidence, focusing on identity, integrity, and reliability.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ecision of forensic results alone is insufficient; rather, the origin of the specimen, prevention of contamination, and adherence to scientifically established procedures must be ensured for the evidence to be given strong probative value. In particular, in cases relying on a single piece of evidence, the presence of corroborating evidence was often a critical factor in judicial evalu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measures to enhance the probative value of scientific evidence through procedural transparency, consistent documentation throughout the collection, preservation, transfer, and analysis stages, and empirical analysis of risk factors inherent in each type of evidence and its interpretation proces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과 살인 사례 분석을 통해 본 교제・가정폭력 대응체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교제 및 가족관계 종료 후 발생한 스토킹 사례를 포함하여
- 사회규범 수준에 따른 규범적 요인과 시민의 신고 의사 관계 구조 차이 분석
- 경찰공무원의 역할 모호성이 냉소주의에 미치는 영향 : 직무요구와 탈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누가 더 두려움을 느끼는가? : 범죄 유형에 따른 제1자ㆍ제3자 효과와 미디어 유형에 따른 차이
- 살인사건 판결문 분석을 통한 전자장치 부착명령 판단기준 연구 - ‘재범위험성’을 중심으로
- 스토킹 담당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MZ세대 경찰관의 조절효과
- 정서적 공감성이 범죄통제 지향주의에 미치는 영향: 냉소주의의 매개효과와 변화 거부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
- 경찰조직에서 양면적 리더십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과학적 증거의 증명력 제고 방안에 관한 고찰
- 누구를 지배할 것인가?: 아동기 외상과 후기 청소년기의 사회적 고립이 통제·지배 성향과 자살사고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
- 군인의 극단주의 범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소년범 재범 위험 예측: 랜덤 포레스트와 로지스틱 회귀의 성능 비교
- 온라인게임을 매개한 사이버도박에 관한 소고
- 신분위장(비공개)수사의 주요 쟁점과 논평 - 디지털 성범죄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일반적 범죄 두려움과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비교 연구
- 사기범죄 발생과 대응 분석을 통한 수사인력 보강 제언
- 시민의 경찰활동 효과성 인식과 경찰활동 협력의사에 관한 연구
- 지역축제 행사에서의 경찰 책임 - 경찰법제 및 재난안전법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트라이포트 마약탐지 기술-정책 융합 전략
- 중동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 시스템 발전방안 연구 : 드론테러 발생 위험도 평가모델 적용
- 경찰특공대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