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act of Ambidextrous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Police Organizations: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윤주영(Joo Young Yoon)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4권 3호, 201~23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환경 속에서 전통적인 위계질서 중심의 경찰조직이 직면한 새로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면적 리더십(탐험지향 리더십과 활용지향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구경찰청 및 산하 경찰서, 지구대 소속 경찰공무원 494명을 대상으로 2020년 12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양면적 리더십 16문항, 직무만족 13문항, 조직시민행동 12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통해 변수 간 관계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탐험지향 리더십은 개인지향 및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 모두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으나, 활용지향 리더십은 직접효과가 없었다. 양면적 리더십의 두 차원 모두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탐험지향 리더십의 영향력이 더 컸다. 직무만족은 조직시민행동의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확인되었고, 활용지향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며 탐험지향 리더십과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찰조직에서 혁신과 변화를 추구하는 탐험지향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자발적 행동을 촉진하는 핵심 메커니즘임을 시사하며, 상황에 따른 리더십 스타일의 유연한 전환 역량 개발과 창의성을 장려하는 조직문화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eks to empirically clarify the impact of ambidextrous leadership (exploratory leadership and exploitative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address new challenges faced by traditionally hierarchical police organizations in a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 survey was conducted in December 2020 targeting 494 police officers from the Daegu Metropolitan Police Agency, its subordinate police stations, and precincts. The survey consisted of 16 items on ambidextrous leadership, 13 items on job satisfaction, and 12 item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results showed that exploratory leadership had a direct impact on both individually-oriented and organizationally-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ereas exploitative leadership had no direct effect. Both dimensions of ambidextrous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with exploratory leadership having a greater impact. Job satisfaction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anteceden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u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ploitat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partia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with exploratory leadershi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police organizations, exploratory leadership that pursues innovation and change is a key mechanism for promoting voluntary actions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and point to the need for developing the capacity to flexibly switch leadership styl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establish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encourages creativity.
목차
Ⅰ. 서 론
Ⅱ. 변수에 대한 논의 및 가설 구성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과 살인 사례 분석을 통해 본 교제・가정폭력 대응체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교제 및 가족관계 종료 후 발생한 스토킹 사례를 포함하여
- 사회규범 수준에 따른 규범적 요인과 시민의 신고 의사 관계 구조 차이 분석
- 경찰공무원의 역할 모호성이 냉소주의에 미치는 영향 : 직무요구와 탈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누가 더 두려움을 느끼는가? : 범죄 유형에 따른 제1자ㆍ제3자 효과와 미디어 유형에 따른 차이
- 살인사건 판결문 분석을 통한 전자장치 부착명령 판단기준 연구 - ‘재범위험성’을 중심으로
- 스토킹 담당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MZ세대 경찰관의 조절효과
- 정서적 공감성이 범죄통제 지향주의에 미치는 영향: 냉소주의의 매개효과와 변화 거부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
- 경찰조직에서 양면적 리더십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과학적 증거의 증명력 제고 방안에 관한 고찰
- 누구를 지배할 것인가?: 아동기 외상과 후기 청소년기의 사회적 고립이 통제·지배 성향과 자살사고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
- 군인의 극단주의 범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소년범 재범 위험 예측: 랜덤 포레스트와 로지스틱 회귀의 성능 비교
- 온라인게임을 매개한 사이버도박에 관한 소고
- 신분위장(비공개)수사의 주요 쟁점과 논평 - 디지털 성범죄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일반적 범죄 두려움과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비교 연구
- 사기범죄 발생과 대응 분석을 통한 수사인력 보강 제언
- 시민의 경찰활동 효과성 인식과 경찰활동 협력의사에 관한 연구
- 지역축제 행사에서의 경찰 책임 - 경찰법제 및 재난안전법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트라이포트 마약탐지 기술-정책 융합 전략
- 중동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 시스템 발전방안 연구 : 드론테러 발생 위험도 평가모델 적용
- 경찰특공대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