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ho Is More Afraid? : First- and Third-Person Perceptions of Crime in Relation to Crime Type and Media Exposure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민흥기(Heungki Min) 이장근(Jangge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4권 3호, 61~8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범죄에 대한 제1자 및 제3자 인식이 범죄 유형(재산범죄 vs 강력범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리고 이러한 인식이 미디어 유형(전통 미디어 vs 온라인 미디어) 이용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대응표본 t-검정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제1자 및 제3자 인식의 차이와 영향 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재산범죄와 강력범죄 모두에서 제3자 인식이 제1자 인식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나 제3자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강력범죄의 경우 제1자·제3자 인식 간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전통 미디어 이용은 제1자 및 제3자 인식 모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온라인 미디어 이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범죄 인식에 있어 매체 유형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제3자 효과 이론을 범죄 인식 및 범죄 유형의 맥락에 적용했다는 점에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first-person and third-person perceptions of crime differ depending on crime type (property crime vs. violent crime) and how these perceptions are influenced by media use (traditional media vs. online media). A nationwid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500 Korean adult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ird-person percep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first-person perceptions for both types of crime, confirming the third-person effect. Notably, the gap between first-person and third-person perceptions was larger in the case of violent crime. In addition, traditional media us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first-person and third-person perceptions. However, online media use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e influence of media types on crime perception and provid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applying the third-person effect theory to the context of crime perception and crime typ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과 살인 사례 분석을 통해 본 교제・가정폭력 대응체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교제 및 가족관계 종료 후 발생한 스토킹 사례를 포함하여
- 사회규범 수준에 따른 규범적 요인과 시민의 신고 의사 관계 구조 차이 분석
- 경찰공무원의 역할 모호성이 냉소주의에 미치는 영향 : 직무요구와 탈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누가 더 두려움을 느끼는가? : 범죄 유형에 따른 제1자ㆍ제3자 효과와 미디어 유형에 따른 차이
- 살인사건 판결문 분석을 통한 전자장치 부착명령 판단기준 연구 - ‘재범위험성’을 중심으로
- 스토킹 담당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MZ세대 경찰관의 조절효과
- 정서적 공감성이 범죄통제 지향주의에 미치는 영향: 냉소주의의 매개효과와 변화 거부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
- 경찰조직에서 양면적 리더십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과학적 증거의 증명력 제고 방안에 관한 고찰
- 누구를 지배할 것인가?: 아동기 외상과 후기 청소년기의 사회적 고립이 통제·지배 성향과 자살사고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
- 군인의 극단주의 범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소년범 재범 위험 예측: 랜덤 포레스트와 로지스틱 회귀의 성능 비교
- 온라인게임을 매개한 사이버도박에 관한 소고
- 신분위장(비공개)수사의 주요 쟁점과 논평 - 디지털 성범죄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일반적 범죄 두려움과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비교 연구
- 사기범죄 발생과 대응 분석을 통한 수사인력 보강 제언
- 시민의 경찰활동 효과성 인식과 경찰활동 협력의사에 관한 연구
- 지역축제 행사에서의 경찰 책임 - 경찰법제 및 재난안전법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트라이포트 마약탐지 기술-정책 융합 전략
- 중동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 시스템 발전방안 연구 : 드론테러 발생 위험도 평가모델 적용
- 경찰특공대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